16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이 26일경 방한해 2박 3일간 머물면서 시 주석의 방한을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 양국은 또 왕 외교부장의 방한을 통해 북한의 4차 핵실험을 앞둔 상황에서 '북핵 불용'이라는 원칙을 재확인하면서 북한 핵실험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이 방한하게 되면 지난해 6월 박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에 대한 '답방' 성격도 있지만 전통적인 '혈맹' 관계였던 북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후 단 한번도 북중 최고지도자 간 만남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남북관계에 갖는 의미가 적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과 중국의 전통적 관계를 감안하면 북중 정상회담이 한중 정상회담보다 먼저 이뤄졌겠지만 북한의 동북아 정세 긴장 조성 및 지난해 말 장성택 처형 등으로 북한에 대한 중국의 불만이 쌓여 있기 때문에 당장은 북중 관계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이 당분간 김정은 체제의 안정화 과정을 지켜보면서 현안이 많은 한중 관계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한 역시 중국과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김정은의 측근으로 알려진 리수용 외무상이 최근 북한 주재 외국 대사들을 잇달아 만나며 본격적인 대외 활동에 나선 가운데 이례적으로 중국 대사에 앞서 러시아 대사를 면담하는 등 러시아와의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이 관측되고 있다.
시 주석의 이번 방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려는 북한에 대한 압박뿐만 아니라 과거사 도발 및 집단적 자위권 행사 추진에 나서고 있는 일본에 대한 견제 기능도 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구본학 한림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경제력 부상에 힘입은 국제적인 위상 강화를 추구하는 중국과 이를 견제하려는 미국 간에 충돌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시 주석의 이번 방한이 동북아 정세에 갖는 의미가 있다"며 "전통적으로 미국이 미일 동맹 강화 기조 아래 일본의 과거사 문제를 묵인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한중 관계 강화를 통해 이를 견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국 정상은 지난해 6월 박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10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올해 3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3차 핵안보정상회의 등으로 여러 차례 만남을 이어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