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일을 시한으로 미국과 관세 협상을 벌이고 있는 우리 정부가 미국 측에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인 한미 조선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이 안에는 수십조 원 규모의 미국 조선업 투자 및 해양력 강화 방안이 담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28일 관가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5일(이하 현지 시간) 미국 뉴욕에 위치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의 자택에서 미리 준비한 패널을 내보이며 ‘마스가 프로젝트’를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표적 정치 구호인 ‘마가(MAGA·Make American Great Again)’에 조선업(Shipping)을 더해 한국이 미국의 조선업 재건 및 해양력 증대를 이끌 유일한 파트너임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실제로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전문 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선박 2412척 중 한국이 수주한 선박은 250척으로 중국(1711척)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미국이 수주한 선박은 단 12척에 그쳤다. 게다가 한국은 일본과 달리 군함·잠수함·쇄빙선·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등 특수선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에 조선 기술력이나 노하우, 인력 양성 방안을 제공할 만한 동맹국은 한국이 사실상 유일한 셈이다.
또 2000년대 이후 사실상 붕괴한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기 위해서는 조선소 인수·현대화 등 대규모 현지 투자가 필수인 만큼 우리 정부는 미국 측에 정부 주도의 공적 금융 지원을 중심으로 한 수백억 달러, 한화로 수십조 원대 투자를 함께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정부는 한국수출입은행·한국무역보험공사 등 공적 금융기관의 대출·보증 제도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정부는 국내 조선 3사(HD현대·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과의 협의를 통해 민간기업과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도 프로젝트에 담았다.
한미 관세 협상을 주도하고 있는 러트닉 장관은 이 같은 방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김 장관과 러트닉 장관이 뉴욕에서 협상을 마친 26일 보도 자료를 통해 “미국 측의 조선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양국 간 조선 협력을 포함한 상호 합의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 같은 조선업 협력 방안을 주축으로 8월 1일 전에 관세 협상을 타결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러트닉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미국 측 협상팀이 트럼프 대통령 수행을 위해 스코틀랜드로 떠나자 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협상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뉴욕에서 워싱턴DC로 복귀하지 않고 스코틀랜드로 향하기도 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1일 미국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최종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