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원전 수주 등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수주액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해줘야 할 우리 금융기관의 지원 역량이 미흡하다는 판단하고 있다. 중동지역의 경우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제2의 중동붐이 일며 우리에게 또다시 기회가 오고 있다"고 언급할 정도로 발전소ㆍ공업단지 등 대형 고부가가치 프로젝트 사업들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이들 사업을 수주하려면 돈줄이 마르지 않아야 한다. 중동을 비롯한 개발도상국들의 해외프로젝트 사업이 대형화하고 수주 경쟁이 심해지면서 입찰 참여자가 재원을 조달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UAE의 핫산(Hassyan) 발전소건설사업이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다라(Sadara) 석유화학단지 사업은 금융자문과 금융주선 역량이 수주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정부가 이날 내놓은 금융지원 활성화 방안의 기본 방향과 추진전략은 이 같은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우리 금융기관의 역량 강화를 통해 자금조달 과정에서 자문·주선 기능을 수행해야 넘쳐나는 중동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고부가가치 영역인 해외 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금융자문·주선 업무는 관련 분야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소수의 유럽 금융기관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자문·주선수수료 외에도 재원조달 과정에도 참여해 대출 이자 등의 추가 이익을 창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상업은행들은 경험과 전문성 부족으로 참여가 저조한 실정이다. 정부가 이번 대책에서 민간금융의 역량 강화와 참여 활성화를 유도하기로 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 위주로 편중돼 있는 프로젝트 금융지원에 민간은행들까지 참여시켜 우리 금융기관의 금융자문 ·주선기능을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장기프로젝트에는 민간은행이 단기대출방식으로 참여할 수 잇도록 단기 상환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 5년 이하 중단기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정책금융기관과 민간은행의 협조융자 프로젝트를 올해 안에 발굴해 추진할 예정이다.
고유가의 영향으로 유동성이 풍부해진 중동자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중동 국부펀드와 공동으로 한ㆍ중동 플랜트 펀드를 조성하고 정부 간 협의체에 인프라 민관협력 태스크포스를 설치하기로 했다. 산유국인 UAE, 사우디, 카타르 등 중동국가의 국부 펀드 규모는 1조7,000억달러 수준으로 전세계 국부펀드 운용액의 37%를 차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