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만다행으로 이번에는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한심하다. 구미에서만도 최근 6개월간 비슷한 사고가 3건이나 발생했다. 지난해 9월 휴브글로벌 공장에서 불산 유출사고로 직원 5명이 사망한 데 이어 불과 사흘 전에는 LG실트론 공장에서 불산 혼합물질이 유출됐었다. 툭하면 터지는 화학물질 배출사고로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이 같은 후진국형 안전사고는 구미지역에 국한된 것만이 아니다. 1월에는 초일류기업으로 꼽히는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불소가 새나와 사망자 1명을 포함해 5명의 사상자를 냈다. 비슷한 유형의 사고가 꼬리를 무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안전의식이 부족한 현장 근로자와 비용증가를 의식해 화학물질 배출 방지기기 도입을 꺼리는 기업, 관리 및 감시ㆍ감독에 미온적인 정부가 합작해 각종 사고를 만들어내고 있는 형국이다. 그런데도 기업들은 여전히 사고가 발생하면 감추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지난해 구미에서 불산가스가 유출됐을 때 여야 모두 보완책을 내놓겠다고 목소리를 높였으나 이번 사고에서 보듯이 달라진 점을 찾기 어렵다.
산업안전은 마땅히 경제안보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평화를 지키기 위해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을 군사장비를 막대한 예산으로 구매하는 안보처럼 산업안전도 유사시에 대비해 투자해야 하는 성격을 갖고 있기에 그렇다. 안전불감증은 반드시 기업의 비용증가를 유발하기 마련이다. 기업의 과감한 투자와 당국의 철저한 감시ㆍ감독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경제성장도, 국민행복도 불가능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