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서거 소식으로 이달 말부터 산하노조 총파업을 시작으로 총력투쟁을 벌이려던 민주노총의 일정이 일단 연기됐다. 이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국민들이 큰 충격에 빠진 상황에서 투쟁을 계속할 경우 자칫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대 산별노조인 금속노조가 아직 파업절차를 진행 중이고 쌍용차 지부의 총파업마저 조합원들의 참여율 저조로 힘을 받지 못하는 등 오는 6월로 예정된 총력투쟁이 동력을 얻지 못하는 것도 또 다른 이유로 지적된다. 민주노총은 25일 오전 긴급 산별대표자회의를 열고 노 전 대통령의 국민장 기간 동안에 민노총 차원의 대규모 집회 등 투쟁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26~29일 4일간 예정됐던 민노총 차원의 집회는 모두 30일 이후로 순연됐다. 민노총의 한 관계자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는 비극적인 일로 노동계에도 큰 충격"이라면서 "그러나 국민장 이후에도 현 정권이 지금과 같은 반노동정책을 바꾸지 않으면 6월 전면적인 대정부 투쟁을 더욱 강력하게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민노총 산하 운수노조 화물연대는 27일 건설노조와 연대해 집회를 열 계획이었으나 30일로 미뤘고 비번조합원 중심으로 서울역에서 대규모 결의대회를 준비했던 전국철도노조도 30일로 집회를 연기했다. 지난 19일 총파업을 공식 선언한 건설노조는 예정대로 27일 상경투쟁을 강행하기로 했지만 투쟁강도를 조절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건설노조의 한 관계자는 "이미 조합원 찬반투표를 걸쳐 파업을 하기로 결정한 사항이기 때문에 파업을 연기하기 어렵다"며 "노 전 대통령의 장례 기간임을 고려해 투쟁강도는 신중히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16일 노동자대회에서 경찰과의 물리적 충돌 이후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던 민노총과 산하노조들이 10일 만에 입장을 선회한 것은 지금은 투쟁의 적기가 아니라는 현실적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가 앞으로 정치ㆍ사회적으로 어떤 파장을 몰고 올지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섣불리 투쟁의 길을 선택했다가 거센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김정한 한국노동연구원 박사는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민노총이 총파업을 벌인다는 것은 국민정서와 괴리된 선택일 수밖에 없다"며 "총파업을 강행한다면 국민들의 지지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민노총이 총연맹 차원의 투쟁을 당분간 자제하기로 결정한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6월 말로 예정된 총파업을 진행하기 위한 추진동력이 모자라는 게 아니냐는 것. 21일 총파업을 선언한 금속노조 산하 쌍용차 지부는 현재 옥쇄파업 중이지만 조합원들의 참석률이 저조해 총파업이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상급단체인 금속노조도 20일 중앙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27일부터 3일간 총파업 찬반투표를 계획하고 있지만 현대차 지부 등 핵심 산하노조가 임단협이 진행 중인 것을 이유 삼아 금속노조의 움직임에 동조하지 않고 있다. 현대차 지부의 한 관계자는 "금속노조 일정상 다음달 5일께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기로 돼 있지만 현재 임단협이 진행 중이라 금속노조의 파업과 관련해 언급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노동계의 한 인사는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 속에서는 현대차 노조가 임금을 갖고 파업하기도 어려울 것"이라며 "민노총이 자칫 동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6월로 예정된 총파업을 진행하면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민노총은 이날 산별대표자회의에서 임성규 위원장과 임원, 산별연맹, 지역본부 대표자로 조문단을 꾸려 경남 봉하마을을 방문, 조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