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에셋플러스] 주식형 0.05%…코스피보다 수익률 낮아

■12월 펀드 결산<br>해외주식형 1.58% 최고 수익률<br>삼성그룹주 투자 펀드도 상위권<br>중소형주 펀드들 하위권 머물러



2011년 12월 국내 주식형 펀드는 월초 코스피지수 1,900선 회복에 따른 차익실현이 대거 이뤄지면서 소폭 순유출을 기록했다.

금융투자협회와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2월 들어 23일까지 국내주식형펀드(ETF제외)에서는 589억원이 빠져나갔다. 월 초 중국의 지급준비율 인하와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의 유동성 공급공조 합의, 미국 경제지표 호조 등으로 코스피지수가 1,900선을 회복하자 2~9일까지 5,000억원의 뭉칫돈이 유출됐다. 이후 코스피지수가 1,800대에서 박스권 흐름을 보이면서 열흘 연속 순매수 행진이 이어졌지만, 유입 규모는 점점 줄어들었다.

12월 1일부터 23일까지 국내 주식형펀드 수익률은 0.05%로 플러스 전환했지만,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수익률(1.07%)보다는 저조했다.

해외주식형펀드는 경기지표 호조에 힘입은 뉴욕증시의 선전 속에 전체 수익률이 1.58%를 기록하며 모든 유형 가운데 가장 높은 성적을 냈다.

그러나 이 같은 선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사리고 있는 유럽 리스크 우려로 해외 주식형펀드에서 677억원이 빠져나갔다.

개별 주식형 펀드에서는 'KB밸류초이스증권투자신탁[주식]A'가 4.50%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뒀고, 상장지수펀드인 '미래에셋맵스TIGER필수소비재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3.92%), '우리KOSEF고배당상장지수증권투자신탁(주식)'(3.53%), '미래에셋맵스TIGER미디어통신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3.32%)가 뒤를 이었다.

삼성그룹주에 투자하는 펀드들도 수익률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투자KINDEX삼성그룹주SW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이 2.53%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IBK삼성그룹증권투자신탁[주식]A'(2.49%), '삼성KODEX삼성그룹주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2.49%), '한국투자KINDEX삼성그룹주동일가중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2.32%) 등이 유형평균 대비 양호한 성적을 냈다.

반면 검찰의 SK그룹 수사에 여파로 SK그룹주에 투자하는 '우리SK그룹우량주플러스증권투자신탁 1[주식]A1'는 -4.61%의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중소형주 비중이 높은 '알리안츠Best중소형증권자투자신탁[주식](C/C 1)'와 '동양FIRST스타우량상장지수증권투자신탁(주식)'도 각각 -4.61%, -3.60%를 기록했고, '한국투자KINDEX코스닥스타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3.59%), '미래에셋맵스TIGER미드캡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3.53%), 'KStar코스닥엘리트30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3.46%), '미래에셋맵스코스닥Star30인덱스증권투자신탁 1(주식)종류C-e'(-3.29%) 등 중소형주펀드들이 하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2월 한달간 자금이 가장 많이 몰린 국내 주식형 펀드는 'KB한국대표그룹주증권자투자신탁(주식)'으로 206억원이 들어왔다. 이 펀드는 A클래스 기준으로 수익률이 0.10%였다.

해외주식형 펀드는 대부분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북미(4.12%), 중남미(3.93%), 홍콩H(3.78%), 브라질(3.75%) 등이 높은 수익률을 냈다. 반면 러시아는 -5.74%로 가장 저조했고, 신흥유럽(-3.98%), 중국본토(-3.62%), 인도(-2.90%) 등도 마이너스 성적을 거뒀다.

개별 해외주식형 펀드 중에는 '한국투자월스트리트투자은행증권투자신탁 1[주식](A)'가 8.79%로 가장 높았고, 'ING차이나Bull 1.5배증권투자신탁[주식-파생형]종류A'(8.53%), '한화차이나H 스피드업1.5배증권자투자신탁[주식-파생형]종류A'(8.49%)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미래에셋인디아인프라섹터증권자투자신탁 1(주식)종류A'와 '신한BNPP골드증권투자신탁 1[주식](종류A)'는 각각 -8.09%, -6.82%로 부진했다.

국내혼합형펀드와 해외혼합형펀드는 각각 -0.03%, -0.25%를 기록했고, 국내채권형펀드가 0.13%, 해외채권형펀드 1.38%였다.

테마펀드 중에서는 금융펀드(해외)가 4.27%로 가장 높은 수익을 냈고, 헬스케어펀드(3.45%), 인프라펀드(1.81%), 삼성그룹펀드(1.78%) 등의 성적이 좋았다.

반면 8, 9월 급락ㆍ변동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금펀드는 금값 하락 속에 마이너스 수익률(-6.35%)로 곤두박질치며 체면을 구겼고, 국내 사회책임(SRI)펀드 -2.25%, IT펀드 -1.54% 등을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