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터널속 아비규환 ‘생지옥’

18일 오전 9시50분 대구지하철 1호선 1079호 전동차(기관차 최정환)는 반월당역을 출발, 대구시내 한복판인 중앙로역을 향해 달리고 있었다. 전동차의 객차 의자에 앉은 승객은 책장을 넘기거나 눈을 붙이고 있는 등 객실 내에는 차량 소음을 제외하곤 침묵만이 흐르고 있었다. 이어 3~4분 뒤 전동차가 중앙로역 플랫폼으로 들어서는 순간 감색 체육복을 입은 김모(56)씨가 검정 가방에서 시민들이 흔히 먹는 녹색 플라스틱 우유통을 꺼내 그 입구에 라이터로 불을 붙였다. 김씨 옆에 있던 박금태(37ㆍ남구 대명동)씨 등 승객 3~4명은 장난을 하는 것으로 보고 “구내에서 위험하니 불을 꺼라”고 했으나 김씨가 말을 듣지 않았다. 박씨 등 승객들은 격투까지 벌였으나 김씨는 이들의 제지를 뿌리치고 갑자기 우유통에 가득찬 시너로 추정되는 인화성물질을 의자에 뿌린 뒤 손에 쥔 라이터로 불을 붙였다. 불이 나자 지하철 구내에는 자동으로 전기공급이 끊기면서 암흑천지로 변했으며 출입문도 닫혔다. 이번 사고로 21여명이 사망하고 130여명이 부상을 당한 대구지하철 중앙로역 현장은 그야말로 아비규환 이었다. 0…사고가 나자 대구시와 지하철본부, 소방본부 등은 현장에 지휘본부를 설치하고 직원 1,000여명과 소방차 30대, 앰블런스 30대 등 장비를 투입해 화재 진화와 부상자 후송,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유독가스와 연기 분출로 화재를 조기 진압하지 못해 구조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고직후 350여명의 승객들이 서로 먼저 빠져 나오려고 중앙로 역사는 대혼란이 빚어졌으며 이 사고로 대구지하철의 운행이 전면 중단되고 지하철 출입구에서 다량의 유독가스가 장시간 배출되면서 한때 대구 도심의 육상 교통까지 마비됐다. 0…대구지하철 중앙로역 열차 방화사건 현장에 마련된 종합상황실에는 가족의 생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찾아든 시민들로 발디딜 틈이 없는 모습. 피아노 레슨을 받기 위해 사고 지하철에 탑승한 고3생 딸(19)에게 사고 소식을 휴대폰으로 받은 박모씨(44ㆍ주부)는 사고 현장에 나와 딸을 찾았으나 생사가 확인되지 않자 오열하기도. 박씨는 “딸에게 전화받고 곧바로 지하철공사에 전화했지만 공사는 사고내용도 모르고 있는 등 늦장 대응했다”며 “사고 소식을 휴대폰으로 얘기한 딸에게 아무리 전화해도 연결되지 않는다”며 발을 동동 굴렀다. 조모씨(42)도 초등학교(경북대사범대 부속초등학교) 6학년이 딸이 “살려달라”고 휴대폰으로 전화한 뒤 소식이 없다며 오열을 터트렸다. 0…사고에 대한 목격자의 진술도 엇갈린다. 화재 발생차량이 목격자마다 1-3호차까지 다른데다 범인이 자신의 몸에 휘발성물질을 붓고 라이터를 켰다는 주장과 바닥에 뿌린 뒤 라이터를 던졌다는 주장으로 혼선을 빚기도. 그러나 사고 객차에 탑승해 범인과 격투를 벌였다는 전융남씨(60ㆍ대구시 남구 대명동)는 “운동복 차림의 범인이 녹색 플라스틱우유통에서 신나로 보이는 휘발성 물질을 바닥에 뿌린 뒤 라이터로 불을 붙였다”며 “라이터에 불을 붙이는 순간 범인의 팔을 잡으며 제지했지만 범인은 라이터를 바닥에 던졌고 `퍽`하는 소리와 함께 불길이 치 솟았으며 범인은 하반신에 불이 붙은 채 객차를 빠져 나갔다”고 말했다. 전씨는 범인이 운동복 차림이었지만 비교적 말끔해 등산객인 줄 알았다고 덧붙였다. 0…대구지하철 화재 사고를 조사 중인 대구경찰청은 방화 용의자 김모(56ㆍ대구 서구 내당동)씨를 대구 북구 노원동 조광병원에서 검거 조사 중이다. 김씨는 방화하면서 다리에 화상을 입었으며 목격자들과 대질에서 범인이 맞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입을 굳게 다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로 인근에 있던 금융기관의 업무도 일시적으로 마비됐다. 우리은행 중앙로지점의 경우 유독가스가 지점을 가득 채워 고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을 벌였고 오전 11시부터 약 1시간동안 지점을 일시 폐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중앙로 지점도 유독가스로 인해 정문을 막고 뒷문과 옆문을 통해 고객들을 일시 대피시켰다. 또 인근의 대구은행 지점의 경우 최근 공기청정기를 설치해 객장내의 유독가스를 일정부분 줄일 수 있어 정상영업은 하고 있지만 여전히 고객들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김태일기자 tiki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