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임무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 하고 있는 당내 의원에게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는 데 조기 구성론의 근거다. 당 지도부의 인사는 20일 “초선의원들이 할 일을 찾지 못하고 있고 각 시도별 당협위원장도 제각각 따로 놀고 있다”면서 선대위 구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 당직자는 "완벽한 구성에 시간이 걸린다면 중앙선대위 핵심 골격만 먼저 편성하는 등 가시적이고 상징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문재인 후보의 `컨벤션 효과'와 안철수 후보의 출마선언 후 박 후보의 지지율이 밀리면서 연말 대선승리에 대한 당내 위기감이 깊어진 것도 조기출범 분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대선가도에서 `적전분열'을 막고 당력을 결집시키는 조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와 함께 중앙선대위도 탈(脫)계파 총력모드로 꾸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행복추진위 구성에서 예상보다 파격인선이 없었기 때문에 선대위에서 김종인ㆍ안대희를 능가하는 외부 인사를 영입할 지도 관심을모은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선대위에 쇄신을 상징할만한 사람을 전면에 내세우고 과감하게 외부 인사를 영입해야 한다"고 말했고, 한 중진은 "박 후보 진영이 여전히 `폐쇄구조'라는 비판을 고려해야 한다"는 말로 친박(친박근혜)을 위주로 움직이는 현재의 체제가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정몽준, 이재오 의원을 비롯한 비박(비박근혜)계 중진들과 한때 친박(친박근혜)계 좌장격인 김무성 전 의원, 전략통인 3선의 유승민 의원 등 계파와 상관없이 선거를 아는 인사들을 모두 불러모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나 친박 진영에서는 박 후보가 스스로 달라지지 않는다면 중앙선대위도 난국의 돌파카드가 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따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