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결과를 보면 지난 2월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9,000명(3.7%) 늘어난 443만3,000 명으로 집계됐다. 현행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통계를 낸 2004년 이래 가장 많았다.
산업분류 체계가 다소 바뀌어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2003년 이전의 제조업 취업자 통계까지 따져보면 외환위기 초입인 1997년 12월(447만7,000 명) 이후 최대치다.
제조업 일자리는 수출이 이끈 한국경제와 명암을 같이해 왔다.
고도성장기에는 노동집약적 구조에 따라 일자리를 양산했으나 산업 고도화나 공장 자동화 영향으로 1990년대 초중반부터는 줄거나 정체됐다.
연간으로 1975년 200만 명, 1979년 300만 명, 1987년 400만 명을 넘어서고는 1991년 516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 후 내리막을 탔고 외환위기 직후의 구조조정 한파에 1998년 392만 명까지 급감한다.
1999년부터 늘긴 했지만 430만 명을 넘지 못했고 세계 금융위기 당시인 2008~2009년에는 다시 400만 명선이 무너졌다.
그러나 2010년부터 2014년 사이에 4년 연속으로 늘었고 증가폭은 2012년 1만4,000 명, 2013년 7만9,000 명, 2014년 14만6,000 명으로 커졌다.
전문가들은 전년 동기 대비로 제조업 취업자가 2012년 7월부터 32개월째 늘어난 점에 주목한다.
연속 증가 개월 수로는 1984년 11월~1989년 11월 기록된 61개월 이후 최장이다. 그 후로는 길어야 20개월 남짓 증가에 그쳤다.
금융위기에서 벗어나 증가세를 탄 2010년 1월 이후로는 글로벌 재정위기가 불거졌던 시기인 2011년 8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11개월을 빼면 줄곧 증가한 셈이다.
2005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60개월 연속 감소한 것과 견줘보면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2010년 당시 제조업 취업자가 늘어날 때만 해도 경기회복 영향으로 보는 해석이 많았다.
실제로 제조업 생산은 2009년 0.2% 감소했다가 2010~2011년에 각각 16.7%, 6.0% 증가했다.
하지만 그 후로는 경기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측면이 많다.
2012~2014년 제조업 생산은 각각 1.4%, 0.7%, 0.1% 늘어 증가폭이 둔화했는데도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최근 ‘성장 없는 고용’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는 미스터리 같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다.
박윤수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의 노동 수요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베이비부머들의 구직활동이 활발해진 영향일 수 있다”며 “이런 공급 주도 상황에선 고용이 늘어도 임금은 정체되거나 ‘성장없는 고용’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시간 근로 확대나 법정 근로시간 단축의 영향이 있는지도 주목했다.
제조업 분야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가 미쳤을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시각도 있다.
외국인 고용조사 결과를 보면 외국인 제조업 취업자는 2012년 36만8,000명, 2013년 37만7,000명, 2014년 41만8,000명으로 늘었다.
외국인 고용조사는 경제활동인구 조사와 통계방식 차이로 단순 비교가 어렵지만 증가 흐름을 엿보기에는 충분하다.
아울러 공장을 해외로 옮겼다가 다시 국내로 들아오는 ‘유턴 기업’이 늘어난 것도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미국도 그렇지만 제조업의 혁신으로 정보기술 등의 분야에서 3D프린터처럼 새로운 영역이 생긴 영향일 수 있다”며 제조업의 새로운 영역 확장을 주시했다.
이시균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센터장은 “1990년 이래 제조업 고용은 계속 감소하다가 금융위기 이후 큰 변화를 보인다”며 “위기 이전에는 제조업의 성장에도 고용은 정반대로 가는 경향이었지만 이후에는 생산과 고용이 같은 방향성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런 동조성은 주력 제조업 분야에서 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면서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감소 영향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그는 분석했다.
그는 “제조업 생산과 고용의 동조성이 회복되고 있는 것 같다”며 “이런 상황에선 제조업이 계속 성장하면 제조업에서의 지속적인 고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