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조광현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이 신호전달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항암제에 내성이 생겨 암이 다시 진행하는 이유를 규명했다고 12일 발표했다.
표적항암제는 암세포에 생기는 특이한 변이나 단백질에만 반응해 암세포만을 죽인다. 암 세포만 죽이기 때문에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기존항암제 대안으로 평가 받고 있다.
문제는 임상 단계에서 많은 표적항암제가 내성이 생겨 결국 신약개발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점이다.
조 교수팀은 대부분의 종양에 활성화되는 '신호전달경로'를 차단하는 표적항암제를 투여하면 해당 경로는 차단되지만 다른 길로 우회해서 암이 재발한다는 사실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즉 다른 표적약물을 표적항암제와 조합해 암세포를 유발하는 우회로까지 차단하면 표적항암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약물이 세포의 신호전달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해 표적항암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분자세포생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분자세포생물학지'의 표지 눈문으로 실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