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발표된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9월 중 생산과 소매판매ㆍ설비투자 전 부문이 전월 대비로 일제히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광공업 생산은 2.1% 하락해 지난 3월 이후 최악이다. 산업활동 부진은 2주가량 지속된 현대ㆍ기아차 파업이 결정적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추석연휴에 따른 조업단축도 악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모두 설명하진 못한다. 3ㆍ4분기 성장을 견인한 소비가 정작 9월에는 -2%를 기록했다는 것은 심상치가 않다. 지난해 역시 추석이 9월에 있었는데도 전년 대비 1.5% 후퇴했다. 올 추석경기가 신통치 않았다는 의미다. 경기가 얼어붙었다는 시장의 호소를 엄살로 치부할 게 아니다. 설비투자 역시 전월 대비 4.1%, 전년 대비 9.1%씩 뒷걸음친 것도 예사롭지 않다. 물론 경제지표 하나하나에 일희일비할 것은 아니다. 성장의 양대 축인 소비와 투자의 부진이 추세적으로 계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이번 실물경제 동향은 경기회복을 과신하지 말라는 무언의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
돌이켜보면 우리 경제는 적극적인 재정동원에 힘입어 성장회복의 모멘텀을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연말~내년 초가 우리 경제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누차 강조한 바 있다. 재정의 약발이 점차 소진되고 있어 이제부터는 민간의 활력이 뒷받침돼야만 성장세를 굳힐 수 있다. 그러자면 정부로서는 경기회복에 탄력이 붙도록 투자활성화 지원에 전력투구해야겠지만 국회도 엄중한 책임감을 갖고 외국인투자촉진법을 비롯한 경제활성화 법안들을 속히 처리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