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바다정취 품은 태안 도보여행코스

'파도·솔모래·노을' 200리 명품길… 천하절경에 홀리다<br>학암포서 안면도 땅끝 영목항까지 일곱개의 길마다 아름다운 풍광이<br>이국적 경관 연출 신두리 해안사구… 천리포수목원 등 둘러볼 곳도 많아

태안 해안길 소원길 구간의 천리포수목원 앞 모래사장에서 바라본 낙조. 노을과 구름이 파란 캔버스 위에 수채화를 그려놓았다.

바라길 구간의 신두리에 위치한 해안사구는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것으로 이국적 풍광을 연출한다.

태안 맛집 관해수산의 간장게장.


길을 따라 걷다 보면 동양화가 펼쳐진다. 발품만 좀 더 팔면 사막 같은 사구(모래언덕)도 볼 수 있다.

중국이나 몽골 고비사막 이야기가 아니다. 서울에서 두 시간 거리, 태안에 펼쳐지는 해안길 얘기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7월 태안 해안을 따라 걸으며 바다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도보여행 코스로 바라길ㆍ소원길ㆍ파도길ㆍ솔모랫길ㆍ노을길ㆍ샛별길ㆍ바람길 등 총 97㎞의 해안길을 개통했다. 200리나 이어지는 일곱 개의 길들은 저마다 바다와 숲, 갈대밭을 조망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숨가쁜 산행이 싫고 장딴지의 근육통이 두렵다면 서울에서 두 시간 거리의 가까운 곳에 있고 부담 없이 걸을 수 있는 태안의 해변길로 발길을 돌려볼 만하다.

◇바라길 구간=학암포에서 신두리까지 12㎞, 약 4시간이 소요되는 바라길 구간은 바다의 고어인 '아라'에서 명칭이 유래됐다. 태안해안국립공원 최북단에 위치한 바라길은 2007년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의 유류 오염사고 때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지역이다. 당시 원유 유출량은 1만2,547㎘. 2007년 세계에서 발생한 원유 유출사고로는 가장 큰 규모였다.

사고가 일어나자 전국 각지에서 자원봉사자들이 모여들었다. 국민들의 희생과 봉사는 재앙을 씻어냈고 리아스식 해안을 따라 아름다운 경관과 독특한 해안생태계를 자랑하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상상 외로 빠른 시일 안에 본래 모습을 회복할 수 있었다.

바라길의 학암포~구례포~먼동~신두리로 이어지는 아름다운 해변과 숲길을 거닐다 보면 한폭의 산수화에 빠진 듯한 기분마저 든다. 아울러 우리나라 최대의 해안사구인 천연기념물 431호 신두리 사구와 람사르협약에서 지정된 두웅습지에서는 독특한 생물들의 식생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신두리 사구는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지질형태로 사막을 연상시키는 이국적인 풍광을 연출한다.

◇소원길 구간=소원길 구간은 신두리에서 만리포까지 22㎞로 8시간이 소요된다. 이곳 역시 원유 유출사고로 몸살을 앓았지만 전국에서 모여든 130만 자원봉사자와 지역주민의 땀과 노력으로 제 모습을 되찾았다. '세계의 아름다운 수목원'으로 지정된 천리포수목원, 대천 변산과 함께 서해안 3대 해수욕장으로 꼽히는 만리포가 있는 곳이다. 코스가 길어 장시간 보행이 불가피하지만 비교적 평탄해 큰 어려움 없이 걸을 수 있다. 길 왼쪽에 펼쳐지는 가을 바닷가의 한적한 풍광이 자꾸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솔모랫길 구간=몽산포에서 드르니항까지 13㎞를 걷는 데 약 4시간이 소요된다. 골솔림에서 떨어진 솔잎에서 풍기는 솔향기를 맡으며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구간으로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염습지에 살고 있는 동식물을 관찰할 수도 있다. 숲과 바다를 아우르는 가벼운 오르내리막이 있지만 힘들지는 않다. 청포대 해변 끝자락에 별주부전의 우화로 유명한 자라바위와 몽산포 해변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별주부 전망대가 있다. 때만 맞으면 곳곳에 산재한 염전에서 소금이 만들어지는 모습도 구경할 수 있다.

◇노을길 구간=백사장항에서 꽃지해수욕장에 이르는 12㎞에 걸쳐 조성됐다. 쉬지 않고 걷는다면 4시간이 걸린다. 삼봉~기지포~방포로 이어지는 해안선을 따라 조성돼 있으며 호젓한 자태의 해송이 빽빽하게 들어찬 곰솔림에서 시원한 파도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근처에 대형 리조트도 들어서 있어 다리가 피곤하면 잠깐 들러 차 한잔의 여유를 누려볼 수도 있다. 커피숍 바깥으로 펼쳐지는 가을 바다의 풍광이 커피 향과 어우러지면서 연출하는 분위기는 쉽게 누릴 수 없는 호사다.

노을길 구간에는 독특한 습곡지형이 내려다보이는 두여전망대와 우리나라의 3대 낙조 장소로 손꼽히는 할미할아비바위가 있어 때만 잘 맞춘다면 휴대폰으로도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샛별길 구간=꽃지에서 황포까지 14㎞ 구간으로 4시간 정도 소요된다. 바닷물이 내륙 깊숙이 드나드는 병술만은 고려시대 몽고에 항거했던 삼별초가 주둔하며 훈련했던 군사 요충지다. 몽돌로 이뤄진 샛별해변과 각종 기암괴석이 늘어선 '쌀썩은여(여:물속에 잠겨 보이지 않는 바위)'는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하다.

◇바람길 구간=황포에서 영목항에 이르는 구간으로 15㎞ 정도이며 5시간이면 주파할 수 있다.

썰물 때 드넓은 갯벌이 펼쳐지는 바람아래해변이 특히 수려한 해안경관을 자랑한다. 태안해변길 최남단에 위치한 영목항은 매년 말에 해넘이 축제가 열리며 보령ㆍ원산도ㆍ삽시도ㆍ장고도ㆍ고대도 같은 크고 작은 도서를 연결하는 여객선터미널이 있어 섬 구경을 떠나는 관광객들로 붐빈다.






여행수첩



■ 숙박정보

-노으레솔숲:안면읍 승언리 63-182, (041)673-7735

-별빛쏟아지는펜션:소원면 소근리 325-3, (041)674-7761

-쉼이있는자유:이원면 관리 1040-7, (041)672-5287

■ 맛집

-관해수산:소원면 의항리 978-90, (041)672-2118

-청정회관:근흥면 신진도리 522-1, (041)675-1201

-해변회관:안면읍 창기리 1265-28, (041)673-4942

-나드리회관:안면읍 승언리 1269, (041)673-4118

■ 주변 볼거리

백화산, 안흥성, 안면송림, 만리포, 신두사구, 가의도, 몽산포해변, 할미할아비바위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