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묘년 새해에 구제역 사태로 나라가 떠들썩하다. 경북 안동의 경우 지난해 11월 발병한 이후 6개 시도 50개 시ㆍ군으로 확산됐으며 의심신고만 14일 현재 164건이 접수됐고 119건이 양성판정을 받았다. 전국적으로 살처분 대상 가축이 170만마리에 육박하고 있어 축산농가의 기반을 뒤흔들고 있다. 발생원인 경로를 역학적으로 추정해 보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아 구제역 방역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제역 위험국가 방문자제, 기방문자에 대한 방문신고 철저, 농장주ㆍ수의사ㆍ인공수정사 등 축산종사자의 이동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주요 도로마다 방역초소를 설치하여 이동차량을 소독하고 있지만 매서운 한파, 고병원성 조루인플루엔자(AI)와 겹치면서 후유증도 만만치 않다. 농수산물 유통에도 큰 타격 구제역 방역을 담당하던 공무원이 제대로 쉬지 못해 뇌출혈로 쓰러지고 피로가 누적되어 과로로 순직하는 안타까운 소식도 들린다. 또 자식처럼 키우던 가축을 눈 앞에서 매몰해야 하는 축산농가의 충격과 이를 직접 수행하는 공무원과 봉사자들은 정신적 후유증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게다가 곳곳에서 피가 섞인 검붉은 침출수가 흘러나와 살처분에 대한 지하수 오염과 2차 감염이 현실로 나타났다. 커다란 구덩이를 파고 비닐을 깐 후 산채로 돼지를 매장하다 보니 돼지의 몸부림으로 인해 비닐이 찢겨져 오염물질이 새어 나왔다는 것이 관계자의 추정이다. 급기야 농식품부에서는 구제역 방역대책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에 대해 예방백신접종이라는 극처방을 내놓았지만 초기에는 백신이 부족해 대량 주문해야 하는 사태까지 발생하기도 했다. 또 비발생지역의 축산 일부 농가에서는 얼마 남지 않은 설 대목 수요를 의식해 접종을 거부하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축산 청정국가의 이미지에 멍에가 되는 예방백신은 원천적인 구제역 방역이 되지 않는 한 접종대상은 더 늘어날 것이다. 구제역발생, 백신예방접종은 농수산물 유통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 고깃집을 찾는 고객은 발길을 돌리고 있고 고기와 함께 내놓는 채소도 수요가 점차 감소되고 있다. 축산농가의 명품 브랜드도 초토화되기는 마찬가지이다. 수년간에 걸쳐 쌓아 온 이미지가 한 순간에 직격탄을 맞았다. 한숨 소리가 절로 들린다. 각종 교육, 회의, 조합장 선거는 물론 지역 겨울축제까지도 중단됐다. 눈축제, 송어축제, 산천어축제, 정월 대보름제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해마다 준비할 시기인데 개최여부를 놓고 논란만 벌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축산농가의 보상금을 노리는 사기꾼이 있어 상처받은 농심을 더욱 분노하게 하고 있다. 축협직원을 사칭해 구제역 살처분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해준다고 통장계좌번호와 비밀번호를 묻는 금융사기전화가 걸려오고 있다. 정확한 지급절차를 안내해서 이중적 피해농가가 발생되지 않도록 관계자는 각별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 모든 국민이 방역에 총력 다해야 축산농가의 총체적 난국을 생각하면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가 떠오른다. 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이다. 축산농가는 물론 전 국민이 나만 아니면 되지 라는 구제역에 대한 안전 불감증을 새로이 인식하고 권토중래의 마음가짐으로 구제역 방역에 전사적으로 동참해야 하며 행정기관ㆍ단체에서는 그 동안 방역대책의 미비점을 되새기고 철저한 방역 체계를 갖춰야 한다 특히 다가오는 설 명절에는 민족의 대이동이 필수적이다. 구제역이 확산될 우려가 많아 특별대책이 요구된다. 각 도로마다 이동방역 초소 운영을 강화하고 고향을 찾는 출향인들은 축산농가 출입이나 각종모임은 자제해야 한다. 전 국민과 지자체, 관계 단체의 전사적인 동참으로 하루 빨리 구제역을 종식시켜 축산농가의 시름을 덜어주고 전 국민이 활짝 웃는 설 명절이 되기를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