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UND1. 김동섭 VS 美 의회
美여론 폭발직전…"국민 60%, 의원 전부 교체해야"
미국 연방정부 업무정지가 길어지고 국가 채무 불이행 우려까지 겹치면서 미국 정치권을 향한 국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NBC방송과 월스트리트저널이 지난 7일부터 사흘동안 실시한 여론 조사 결과 미국인 10명 중 6명은 할 수만 있다면 의회 의원을 모두 바꿨으면 좋겠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70%는 공화당을 비난했고 51%는 오바마 대통령에게 책임을 물었습니다. 또 응답자 10명 중 7명은 현재 공화당이 하는 일이 못마땅하다고 답했습니다. 김동섭 이사 : 미국은 여론의 힘이 강한 국가 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현재 미국 여론이 미국의 두 정당을 신뢰하지 못하는 상황인데다 심지어 제 3의 정당을 원한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부채상환이나 오바마케어 예산안에 대해 상 두 정당이 물고 늘어지는 싸움만 지속할 시 당의 뿌리까지 흔들리는 상황에 놓일것이며 결국 이러한 상황들이 5일 남은 시점에서 여론의 힘에 밀려 두 정당이 타협할 것이라 전망했다.
■ ROUND2. 김동섭 VS 파이낸셜 타임스
‘닥터 코퍼’의 세계경제 진단
닥터 코퍼(Dr. Copper)가 런던에서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뚜렷하다는 진단을 내놓았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구리 수요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말이다. 닥터 코퍼는 구리가 제조업과 중공업에 폭넓게 쓰이고, 그래서 구리 수요가 경기를 정확히 반영한다는 데서 나온 표현이다. FT는 런던금속거래소(LME) 주최 행사인 LME위크에 모인 시장 관계자들이 한 목소리로 세계경제가 이전보다 더 탄탄한 기반에 서 있다고 분석했다고 전했다.
김동섭 이사 : 중국에 경제 타격이 왔을 때 구리 수요가 줄었지만 다시 구리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자 중국 경기 역시 회복 기조의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리가격에 의한 중국의 경기 회복 국면을 짐작 하자면 구리 가격을 통해 세계 경기 회복의 추이를 점검할 수 있으며 현재 구리 수요 증가 추세는 결국 세계 경제가 회복하고 있는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다.
■ ROUND3. 김동섭 VS IMF
“日 개혁 없이 BOJ 의존 깊어지면 위험” 경고
일본은행(BOJ)이 일본 정부가 주도하는 근본적인 구조개혁 없이 기존 계획보다 더 많은 부양책을 사용할 경우 위험할 수 있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이 경고했다. 시노하라 나오유키 IMF 부총재는 11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통화정책에만 기대는 건 매우 위험하다"며 "일본의 취약한 재정상태 때문에 BOJ에 (경기부양을) 의존하기 쉽다"고 우려했다. 그는 일본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아직 정부의 기대만큼 반등하진 않았다고 지적하며 BOJ의 부양규모가 커질 수록, 통화정책 정상화가 힘들어져 금융시장 불균형이 쌓일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은행(BOJ)이 일본 정부가 주도하는 근본적인 구조개혁 없이 기존 계획보다 더 많은 부양책을 사용할 경우 위험할 수 있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이 경고했다.
시노하라 나오유키 IMF 부총재는 11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통화정책에만 기대는 건 매우 위험하다"며 "일본의 취약한 재정상태 때문에 BOJ에 (경기부양을) 의존하기 쉽다"고 우려했다.
그는 일본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아직 정부의 기대만큼 반등하진 않았다고 지적하며 BOJ의 부양규모가 커질 수록, 통화정책 정상화가 힘들어져 금융시장 불균형이 쌓일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은행(BOJ)이 일본 정부가 주도하는 근본적인 구조개혁 없이 기존 계획보다 더 많은 부양책을 사용할 경우 위험할 수 있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이 경고했다. 시노하라 나오유키 IMF 부총재는 11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통화정책에만 기대는 건 매우 위험하다"며 "일본의 취약한 재정상태 때문에 BOJ에 (경기부양을) 의존하기 쉽다"고 우려했다. 그는 일본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아직 정부의 기대만큼 반등하진 않았다고 지적하며 BOJ의 부양규모가 커질 수록, 통화정책 정상화가 힘들어져 금융시장 불균형이 쌓일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김동섭 이사 :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둘다 비교 해 보았을 때 빠른 속도로 경기 회복을 이뤄야 하는 통화 정책이 느리지만 안정정인 재정정책 보다는 부작용이 큰 편이다. 미국을 예로 봤을 때도 고용은 증가됐지만 비정규직을 책정하는 등 고용의 퀄리티는 떨어지는 모습이다. 결국 시장이 안좋으면 비정규직은 직장을 잃게 되는 상황을 볼 때 이번 셧다운으로 인한 실업청구건수 증가는 이를 대변하지 않았나 라는 생각을 해 볼수 있다. 또한 일본은 미국에 비해 부채가 많기 때문에 재정건전성도 불안전한 상황에서 결국 소비세 인상 카드 외에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 거기에 일본은 소비도 잘 안하는 국가인데 소비세 인상까지 하게 되면 과연 그 정책에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찾아야 하며 더 확실한 정책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