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이 급등하자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사려는 실수요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게 주된 이유다. 부동산 거래를 활성화하고 투자심리를 살리려는 정부의 의도가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문제는 가계부채 증가와 공급과잉이다. 대출받아 집을 산 사람이 많다 보니 가계부채가 줄기는커녕 1,100조원을 훌쩍 넘었다.
신규 분양 아파트의 경우 기존 아파트와 달리 분양가의 70%까지 대출할 수 있다. 높은 청약률에 고무된 건설사들이 분양물량을 쏟아내고 있어 공급이 넘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8~10월에 예정된 분양물량은 전국적으로 12만2,000가구에 이른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9%나 급증한 수준이다. 최근에는 분양권 전매를 노린 투기수요가 가세하면서 거품 우려까지 제기된다.
벌써 일부 지역에서는 분양권 웃돈이 반 토막 난 집들이 생기는 등 불길한 징후가 감지되고 있다. 당장은 거래와 분양이 잘돼 시장이 선순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안으로는 불안요소가 켜켜이 쌓이고 있다는 얘기다. 더구나 지금은 중국 경제 둔화, 미국 금리 인상에다 안보 불안 등 대내외 경제환경이 불확실하다.
이런 상황인데도 계속되는 부동산 청약 열기를 정상적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부동산 대란이 왜 빚어지고 고통이 얼마나 심했는지 정책당국은 물론 국민 모두가 되돌아볼 때다. 때를 놓치면 호미로 막을 수 있는 것을 가래로도 못 막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