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에서만 리콜 실시회수가 연간 800건을 웃돌 정도로 제품결함에 대한 제조사의 책임이 강조되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리콜에 나선 기업과 제품에 대해 호감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전국의 성인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의 88.3%가 '리콜 실시기업에 호감'을 표시했으며 호감도는 평균 4.38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또한 리콜을 실시한 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때 리콜 실시여부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대답한 소비자는 82%였으며 리콜을 실시한 기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 역시 5점 만점에 4.03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자사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우려해 적극적인 리콜에 나서지 않는 기업들의 판단과는 상반되는 모습이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리콜에 나설 때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후한 점수를 줬다. 제품군을 나눠 리콜에 대한 신뢰도를 따진 설문에서 소비자들은 자발적 리콜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4.40점(5점 만점, 자동차 분야)으로 평가했지만, 정부의 시정명령 등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진행하는 강제적 리콜을 실시한 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2.16점으로 절반 가까이 낮아졌다. 공산품이나 식품 분야에 대한 조사에서도 자발적 리콜은 각 4.34점과 4.30점의 신뢰도를 기록했지만, 강제적 리콜일 경우에는 2.05점과 2.03점으로 떨어졌다.
리콜제도의 한계로는 과정이 복잡하고 정보제공이 비효율적이라는 점이 지적됐다. 리콜 대상인데도 조치를 받지 않은 86명의 소비자 가운데 26명(30.2%)은 ‘리콜 과정이 복잡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또 리콜 정보를 늦게 접하거나 방법을 몰랐다고 답한 이도 19명(22.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돼 리콜 공시제도에 대한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현행법이 리콜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문구가 ‘회수’나 ‘수거 권고’, ‘폐기 처분’ 등으로 제각각이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리콜의 목적은 소비자 위해 방지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통해 리콜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야 한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부처에 효율적 리콜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을 건의하는 한편, 기업의 자발적 리콜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