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이화선의 우리술의 멋과 맛] (10)혜원의 그림으로 본 조선시대 술집

최근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와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의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이 미국의 한 대학박물관에서 발견되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혜원은 영조 34년인 1758년에 태어나 정조 때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나, 사망일자와 사망지는 알려져 있지 않고, 1813년 그린 작품(‘여름날의 풍경_ 119.3 x 37.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끝으로 남아있어 사망 시기를 1813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혜원 신윤복, 주사거배酒肆擧杯 (18세기 말~19세기 초, 28.2×35.6cm, 간송미술관).





#김홍도·신윤복 그림 미국서 발견

우리에게 미인도로 잘 알려진 혜원의 그림 중 조선시대 술집 풍경을 짐작할 수 있는 것으로 ‘주사거배(酒肆擧盃)’라는 그림이 있다. ‘술집에서 술잔을 들다’라는 뜻이다. 이 그림이 그려진 때로 보고 있는 1700년대 말은 정조가 신해통공(정조15년, 1791)을 단행하여 객주 또는 여각으로 불리는 여객들이 다양한 도고 활동을 하며 주도 세력으로 부상하는 때이다. 서울과 지방은 포구를 중심으로 객주가 들어서고, 밤마다 술집들이 불야성을 이루며 장시 발달로 양조는 더욱 촉진되어 급기야 정조7년(1783)에 좌의정 유의양이 서울 미곡 소비량을 연 100만 석, 이중 양조에 소비되는 양을 절반 가까이로 추정하면서 강력한 금주 상소를 올린다.

그러나 금주령을 어긴 관료를 참수하는 등 가혹할 정도로 주계를 엄중하게 집행했던 영조와는 달리 정조는 술에 대해 관대했다. 아마도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고, 그만큼 백성들 살림살이가 먹고 살만해졌을 수도 있다. 그보다는 단속을 해야 할 관료들이 속전(贖錢)을 받고 이를 소홀히 했기 때문이 더 컸을 듯도 하다.

#정조 임금, 술에 비교적 관대

일단 그림을 보자. 구도를 보면 아름다운 풍광 속에 저 멀리 바라보이는 풍경화와 같은 구도가 아니라, 담장 너머로 옆집을 내려다보는 것만 같다. 마당에는 봄꽃이 화사하게 피어 있고, 큼직큼직한 세간이 놓인 대청이 보인다. 부뚜막에는 솥단지 두 개가 걸려 있고, 술 단지로 보이는 귀가 달린 큰 단지와 병이 있다. 부뚜막 위에는 술잔과 조그마한 종지그릇과 굽이 달린 접시가 있는데 아마 안주를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 좀 더 집안으로 들어가면 대청 저 안쪽으로 커다란 뒤주도 있고, 뒤주 위에 양념단지인지 잘 생긴 단지들과 굽이 있는 사발과 대접이 놓여있다. 여인 옆으로는 5층으로 짜인 찬장이 있는데 그 위에 사발들을 정갈하게 올려놓았다.

그리고 트레머리를 한 여인이 국자를 들어 술을 떠 주고 있는데, 국자 생김새가 직각으로 꺾인 것으로 보아 탕을 떠주는 국자가 아니라, 술을 뜰 때 쓰는 술국자로 보인다. 부뚜막 위에 솥단지 역시 안주거리 술국을 끓이는 용도가 아니라, 술의 찬기를 걷어 내거나 따끈하게 덥혀내는 용도로 보인다. 술을 떠주는 여인이 입은 잘록한 저고리는 팔을 들어 올리자 옆구리로 속치마가 보일 듯하고, 트는 듯 허리 모양새와 붉은 입술, 고운 눈썹이 예쁘다. 여염집 부인은 아니어 보이지만 남끝동, 자주고름, 남색 치마를 잘 차려 입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당시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기사가 하나 실려 있다.

‘주사거배(酒肆擧盃)’그림 속 글귀, 거배요호월(擧杯邀皓月;술잔 들어 밝은 달 마주 하고) 포옹대청풍(抱擁對淸風;술동이 끌어안고 맑은 바람 맞이하네).





#색주가 선술집 번성하고 상업도 융성

정조 16년(1792) ‘판윤 김문순이 금주법을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는 기사에서 상(上)이 이르기를 “술이 곡식을 낭비한다는 것을 내 어찌 모르겠는가, (중략) 선왕조 때 권극(權極)의 상소로 인하여 일률(一律)을 적용해 본 적이 있었으나 그때에도 술은 그대로 있었다. (중략) 크게 술을 빚는 것과 가정에서 술을 파는 것은 이미 판윤으로 하여금 금단하게 하였으니, (중략) 조정에서 별도로 금령을 내릴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재위 52년 동안 삼엄한 금주와 행형을 가했던 영조 때와는 달리 정조 치세에는 금난전권 폐지를 단행하는 등 강력한 개혁으로 상업이 융성했으며 문예는 조선의 르네상스라 불릴만한 자유분방함이 넘쳤던 때이다. 이를 반영하듯 색주가, 선술집 형태의 목로주점, 상만 내오고 여자 주인이 얼굴을 내비치지 않는 내외주점 등 여러 형태의 술집들이 번성했고 종사하는 사람의 숫자도 많았다.

#술엔 인간 본능을 끌어오는 힘이…

정조 16년(1792) 기사를 보면, 정언(正言) 이명연(李明淵)이 아뢰기를 “지금 가을철에 쌀값이 매우 높으니 겨울과 봄에는 더욱 치솟을 것인데, (중략) 속히 금주법(禁酒法)을 강구하게 하여 날짜를 정해 시행하게 하소서” 하니, 상이 이르기를 “곡식을 낭비하는 것에 술을 빚는 것보다 심한 것은 없다. 그러나 명령만 내려놓고 일체 금지시키지 못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우선 신중히 하는 것이 낫겠다. (중략) 명령을 시행하기 위한 요령을 얻은 다음에야 시행을 의논할 수 있는 것인데, 어찌 먼저 백성을 동요시킬 수 있겠는가”라고 한다.

술은 인간 본능을 끌어오는 성질이 있다. 영조 40년 5월 “금주령은 날로 엄하였으나 범하는 자는 그치지 않았다”는 것을 보면 주금에 관해서는 잠깐 한시적인 정책이 필요할 수도 있겠으나, 장기간에 걸친 억압 정책만으로는 다스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정조는 꿰뚫어 보았던 것은 아닐까.

간혹 ‘주사거배’라는 그림을 두고 ‘금주령을 피해 관원들이 편히 앉지도 못하고 중노미에게 망을 보게 하며, 불안한 듯 서서 술잔을 드는 모습을 꼬집으려는 의도가 있다’는 해석을 대할 때가 있다. 그러나 상황은 조선의 르네상스기라고도 불리던 정조 치세에 활동했던 혜원의 그림이다. 영·정조에 걸쳐 활동하던 단원의 그림이라면 모를까, 혜원의 생몰 연대와 활동시기를 고려할 때, 또 여유로운 화제(畵題)를 볼 때 앞으로는 그림의 해석을 달리 해야 할 듯하다. /이화선 사단법인 우리술문화원장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