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한 해 서울시민의 문화활동이 전년 대비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문화 시설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울 거주자들의 문화 활동이 줄어든 것은 체감경기 불황과 여가 동향 변화에 따른 여행·휴식의 확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서울문화재단은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재단 회원 1,498명과 금천·구로·강남·노원·마포·성북·영등포구 등 7개 자치구 구민 5,190명을 대상으로 ‘2015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 1년간 이들의 문화예술관람(영화·연극뮤지컬·전시회·박물관·음악무용·전통공연·대중공연) 경험률은 65.2%로 2014년의 68.7%보다 3.5%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람 연간 평균 지출 비용도 55만 9,632원에서 47만 7,358원으로 15%포인트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문화예술의 중요도(비중)에 대한 평균 점수도 70점에서 62.4점으로 줄어드는 등 문화활동과 이에 대한 인식이 위축됐다. 2014년과 2015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450명에 대한 시계열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장르별로 살펴보면, 영화는 2014년 10.3회, 2015년 10.2회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고, 박물관(3.8회 동일)·대중공연(2.8회→2.5회)도 소폭 감소에 그쳤다. 반면 전시회(7.5회→6.5회), 연극공연(11.9회→10.2회), 음악·무용(5.3회→3.7회) 등 순수예술 분야는 상대적으로 위축이 두드러졌다.
문화관람의 가장 큰 장애요소로는 비용부담(72.0%)이 꼽혔고, 시간부족(44.5%)도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김해보 서울문화재단 정책연구팀장은 “상반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영향으로 문화소비가 크게 위축된 요인도 있겠지만, 체감경기 불황으로 인한 비용 부담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여가 트렌드의 변화도 문화활동 감소의 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여가 활동이 문화예술보다는 여행이나 휴식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반영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주 여가활동에 대한 응답 비율을 보면 문화예술관람(65.2%)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지만, 전년 대비 수치는 3.6%포인트 줄었다. 반면 여행은 2014년보다 4.5%포인트 증가한 51.8%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김 팀장은 “ 피로사회 속에서 휴식에 대한 갈증이 늘어났고, 웰빙 문화 속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확산 된 영향인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송주희기자 ss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