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긴 회계법인의 고질병은 어제오늘 이야기도 아니다. 증시 즉시퇴출에 해당하는 ‘부정적’ 사유인데도 ‘한정’으로 등급을 올리는 등 상장법인의 감사 결과를 ‘마사지’하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감사기업의 내부정보를 이용한 주식투자로 부당이득을 챙겼다가 구속된 회계사도 수두룩하다. 무엇보다 대우건설 분식회계, 대우조선과 STX조선의 대규모 손실 누락 등 굵직한 기업 부정회계 사건이 터질 때마다 그 중심에는 회계법인이 있었다.
이러니 한국의 회계·감사 수준이 전 세계에서 바닥권이라는 평가는 어쩌면 당연하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지난해 발표한 국가별 회계·감사 투명성평가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140개국 중 72위였다. 조사방식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짐바브웨나 부탄보다 못한 결과는 참담하다. 국내 회계법인의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진 것은 감사보수를 주는 기업의 ‘갑질’과 이에 휘둘리는 회계법인 간 유착 탓이 크다.
부실감사의 원인과 해결방안은 금융당국도, 회계 업계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기업 구조조정 때마다 회계부정이 단골 메뉴였기 때문이다. 해법은 낮은 감사보수 정상화, 감사기준 확립, 비리자 엄벌 등이다. 마침 22일로 예정된 공인회계사회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 3명도 비슷한 처방전을 내놓고 있다. 누가 당선되든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잘못된 관행과 제도를 바로잡는 데 매진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