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경주 월성 원자력발전소에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임시저장시설이 착공된다. 이는 월성원전 내 저장시설이 오는 2019년 포화되기 때문으로 더는 임시저장시설 착공을 미룰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또 월성원전에 이어 2024년 저장시설이 포화되는 전남 영광군의 한빛과 부산 기장군의 고리원전도 이르면 2018년 임시저장시설을 짓기 위해 첫 삽을 뜬다.
이는 정부가 ‘2028년까지 고준위 방폐물의 중간저장과 영구처분 부지 선정, 2035년 중간저장시설 가동, 2053년 영구처분시설 가동’을 골자로 한 로드맵을 지난 5월 발표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월성·한빛·고리원전의 임시저장시설은 중간저장시설이 가동되기 시작하는 2035년까지 활용된다.
정부는 25일 세종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과 미래 원자력 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추진전략을 심의·확정했다.
황 총리는 “원전 규모가 확대되고 운영실적이 쌓임에 따라 방폐물 관리라는 과제가 우리에게 남겨졌다”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국민과 소통해 고준위 방폐물 관리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대책의 성공 여부는 역시 지역 반발을 무마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 고준위 방폐물은 사용 후 핵연료 또는 핵연료의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방사선의 세기가 강한 폐기물로 저준위 폐기물보다 위험하다. 이 때문에 고준위 방폐물의 중간저장 및 영구처분 부지를 선정하기도 어렵거니와 이런 시설이 들어서기 전에 활용될 원전별 임시저장시설을 짓는 데도 지역 반발이 상당하다. 월성원전의 경우 늦어도 연내에 임시저장시설을 착공해야 기존 저장시설이 다 차는 2019년 전에 완공이 가능하다. 정부 로드맵대로만 되면 2037년과 2038년 저장시설이 포화되는 한울원전과 신월성원전은 따로 임시저장시설을 짓지 않아도 된다. 2035년 중간저장시설이 가동되면 원전별로 보관하고 있는 방폐물을 중간저장시설로 옮기면 되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지역설명회 등을 통해 차질 없이 임시저장시설을 착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