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의 세월호 선체 절단 인양 방침 발표에 세월호 특조위가 참사원인 규명이 영원히 불가능하게 된다며 반박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조위 활동 기간을 놓고 여야가 대립하고 있는데다 미수습자 수습 방법까지 진영에 따라 엇갈리면서 세월호 갈등이 전면 재부각될 조짐이다.
세월호 특조위는 30일 서울 중구 특조위 대회의실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전날 해수부의 방침을 겨냥 “선체 절단은 참사원일 규명을 영원히 불가능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특조위는 “선체를 절단하면 세월호 신호전달체계의 이상 유무와 전자적·물리적 오류 여부 등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사고원인을 밝힐 수 있는 조사가 불가능해진다”며 “최대한 선체 원형을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월호를 눕힌 상태에서 객실 구역만 분리해 바로 세운 뒤 작업하는 ‘객실 직립방식’이 참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선체 정밀조사를 영원히 불가능하게 한다는 게 특조위의 설명이다. 특조위는 해수부가 아예 선체 절단 이외의 인양 방법을 검토하지 않았다고도 날을 세웠다. 정리용역업체 선정에 응찰했던 8개사 가운데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코리아쌀베지’는 절단 방식을 제안했지만, 나머지 절반 가량의 업체는 천공만으로 작업할 수 있다는 기술을 제안했다는 얘기다. 즉 아예 선체 절단을 염두에 두고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택했다는 게 특조위 논리다. 권영빈 특조위 진상규명소위원회 위원장은 “해수부는 선체절단 방식을 결정하면서 특조위를 완전히 배제 했다”며 “해수부가 선체조사·선체정리·선체보존 방안에 대해서 공개하고 논의해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전날 해수부의 ‘세월호 인양 선체 정리 기술 검토 태스크포스(TF)’는 ‘객실 직립방식’을 미수습자의 신속한 수습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고 결론 내렸다. 이 방식은 미수습자 수습에 60일 가량 걸려 다른 방법을 적용했을 때와 비교해 가장 짧고 안전해 사고원인 조사에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객실 분리 과정에서 화물칸 상단(수평 92m·수직 8.8m, 3개층)을 절단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외벽인 데다 사고 당시 대부분 영상으로 공개된 부분이라 준비만 철저히 하면 사고 원인 조사 등에 영향이 없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인양 방법과 함께 최근 여야 대표까지 특조위 활동을 두고 시각차를 보이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세월호 이슈가 정치 현안으로 덧칠되면 진실규명이 요원해 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북 성주의 고고도비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와 함께 세월호 이슈가 자칫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재단될 경우 국론 분열의 단초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이두형·박우인기자 mcdjrp@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