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염동열 수석대변인은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과 관련, 구두논평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이 사실로 확인되면 이것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라고 밝혔다. 염 대변인은 또 “동북아의 평화는 물론 한반도의 평화를 해치는 일”이라며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김홍길기자 what@sedaily.com
북한 핵실험 일지
△2003년 1월10일 북한,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
△2005년 2월10일 북한, 핵무기 보유 선언
△2005년 5월11일 영변 5MW 원자로에서 8000개 폐연료봉 인출 완료 발표
△2005년 9월19일 6자회담에서 ‘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파기한다’는 내용의 9·19공동성명 채택
△2006년 7월5일 북, 장거리 미사일 대포동 2호를 포함한 7기 미사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서 시험 발사. 대포동 2호 발사 40초 후 폭발해 실패.
△2006년 7월15일 유엔 안보리 1695호 결의 채택. 북한의 미사일 관련 군수품 무역거래와 탄도미사일 개발 활동 중단 촉구
△2006년10월9일 북, 제1차 핵실험 강행
△2006년10월14일 유엔 안보리 1718호 결의 채택. 북한 미사일 및 핵실험과 미사일 관련 군수품 무역거래 중단 재차 압박
△2008년 6월27일 북,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해체
△2008년 12월8~11일 6자회담 수석대표 베이징서 회동했으나 결렬
△2009년 4월5일 북, ‘은하 2호’ 무수단리 발사장서 발사 시험 강행
△2009년 4월13일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북 외무성 핵시설 원상복구 발표
△2009년 4월29일 북,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예고
△2009년 5월25일 북, 제2차 지하 핵실험 실시
△2009년 6월12일 안보리, 1874호 결의 채택. 북한 핵탄두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제재 강화, 북 외무성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 전량 무기화 및 우라늄 농축 착수 발표
△2012년 4월13일 북,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대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2분15여초 만에 추락
△2012년 4월16일 북 장거리 로켓 발사 따른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2012년 12월12일 동창리 발사대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성공
△2013년 1월22일 안보리 2087호 결의 채택
△2013년 1월26일 김정은, 국가안전 및 대외부문 일꾼협의회 주재…국가적 중대조치 결심
△2013년 2월3일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서 “자주권 지키기 위한 중요한 결론을 내렸다”고 발언
△2013년 2월12일 북, 제3차 핵실험 실시
△2013년 3월7일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결의 2094호 채택
△2013년 4월2일 북한, 영변 5MW 원자로 재가동 선언
△2016년 1월6일 북한 4차 핵실험. 북 “첫 수소탄 실험 성공”
△2016년 3월3일 동해상으로 300㎜ 방사포 6발 발사
△2016년 3월10일 동해상으로 스커드 계열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2016년 3월18일 동해상으로 노동 계열 미사일 2발 발사
△2016년 3월21일 동해상으로 300㎜ 방사포 5발 발사
△2016년 3월29일 300㎜ 방사포 추정 발사체 1발 발사
△2016년 4월1일 동해상으로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1발 발사
△2016년 4월15일 무수단 계열 미사일 1발 발사
△2016년 4월23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1발 시험발사
△2016년 4월28일 무수단 계열 미사일 2발 발사
△2016년 5월31일 무수단 계열 미사일 1발 발사
△2016년 6월22일 무수단 계열 미사일 2발 발사
△2016년 7월9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1발 시험발사
△2016년 7월19일 동해상으로 노동 2발, 스커드 계열 1발 발사
△2016년 8월3일 동해상으로 노동미사일 2발 발사
△2016년 8월24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1발 시험발사
△2016년 9월5일 동해상으로 노동 계열 추정 미사일 3발 발사
△2016년 9월9일 북한 5차 핵실험.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