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체육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3수 끝에 성사시킨 평창올림픽이라는 국가적 대사를 이렇게 헛되이 날려버릴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비선실세 최순실의 국정농단과 올림픽경기장 등에 대한 이권 개입으로 최악의 위기에 봉착한 평창올림픽의 반전 계기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작지 않다.
김진선 전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최순실 게이트를 언급하면서 “평창올림픽을 노리고 접근했다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면서 “다만 평창올림픽이 갖는 가치와 성공 개최의 목표는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희범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도 최근 강원 평창의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공개행사에서 “한국은 1988년 서울하계올림픽을 개최했고 이제 30년 만에 평창동계올림픽을 개최하게 됐다”며 “평창올림픽은 올림픽 역사에 성공의 발자취를 남길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하지만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가장 큰 걱정은 올림픽에 냉담한 국내 분위기다. 조직위는 재원 확보만큼이나 붐업 조성에 신경 쓰고 있으나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서도 확인됐듯 올림픽 이벤트 자체에 대한 열기가 과거와 달리 미지근해진데다 최순실 게이트마저 터져 찬물을 끼얹은 꼴이라 무관심 안방 잔치가 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최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도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을 만난 자리에서 국내 정치상황을 물어오며 평창올림픽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조직위는 지난달 개시하려던 대회 입장권 발매를 내년 2월로 미뤄야 했다. 조직위의 한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붐업되는 상황을 지켜보고자 한다. 2014소치올림픽도 개막 1년 전에 입장권 발매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입장권 발매를 4개월이나 연기할 정도로 분위기가 달아오르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분위기 전환을 위해 분산 개최, 예산 보완책 등 다양한 구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학계에서는 비용절감과 경기장 사후 활용 등의 장점을 꼽으며 2020 하계올림픽 개최국인 일본과의 분산 개최를 거론한다. 유상건 상명대 스포츠정보기술융합학과 교수는 “일본과의 분산 개최는 결국 의지의 문제다. 경기장을 이미 건설한 상황이라 더 손해라는 시각도 있겠지만 운영에 들어가는 돈은 아낄 수 있다”고 했다. 미르·K스포츠재단에 투입된 대기업 출연금을 평창 조직위 예산으로 돌려놓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이 역시 국회 논의가 우선이라 성사가 쉽지 않다.
그러나 평창올림픽의 최악 위기를 반전을 위해서는 대회의 동력을 되찾는 것이 우선이다. 유 교수는 “평창·도쿄·베이징 순으로 차례로 올림픽이 열리기 때문에 3국의 준비가 확실히 비교될 것”이라며 “개막식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이는 것도 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양준호기자 migue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