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1년간(2015년 말~2016년 12월3주차) 전국의 3.3㎡ 당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4.63%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주상복합 단지의 상승폭은 2.58%로 나타났다.
이 같은 차이는 수도권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경기권의 경우 주상복합단지(1.25%)와 아파트(3.77%)의 상승률은 2배 가량 차이가 났다. 서울의 경우 주상복합단지 가격 상승률이 1.79%에 그친 것에 비해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8.01%로 상승폭이 6.23%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업계에서는 선호도의 차이가 이 같은 현상을 보였다는 분석이다. 주상복합의 경우 상업지역 등을 중심으로 들어서다 보니 주거 환경이 좋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입지 특성상 주로 큰 길가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에 있어 소음공해가 많고 교육시설 등 주거인프라가 부족하다. 또한 용적률이 높기때문에 아파트보다 조경과 녹지 비율이 적어 쾌적성면에서도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또, 주상복합은 아파트보다 평균 전용률이 낮은 편인데 반해 분양가가 높아 웃돈이 쉽게 붙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전국의 아파트와 주상복합 단지 평균 분양가(부동산114 조사 기준)를 비교한 결과 아파트(임대 제외)는 3.3㎡당 1,053만원이지만, 주상복합의 경우 1,166만원으로 상대적으로 10.7% 가량 높다. 평균적으로 높은 가격에 수요층이 한정될 수 있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개선되고 있지만 일반아파트보다 주거 쾌적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아직 남아 있어 선호도 면에서 차이가 있다”며 “또한 주상복합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층으로 조성되고 재건축이 쉽게 이뤄지지 않는 것도 올해 일반 아파트와 가격 상승폭의 차이를 보인 원인 중 하나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