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文 "신용 'AA' 등 韓체력 튼튼...北 대화땐 '동북아 新경제'기대"

■뉴욕서 한국경제 IR

골드만삭스 회장·씨티그룹 사장 등 월가 큰손들 한자리에

"한미FTA, 양국 모두에게 이익" 호혜성 정당한 평가 당부도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중심지에 위치한 인터콘티넨털 바클레이의 대형 행사공간이 있는 ‘M층’은 오전부터 구름떼 인파로 북적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 투자설명회(IR) 차원에서 연 ‘뉴욕 금융·경제인과의 대화’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의 당국자들과 월가 투자자들이 운집한 것이다. 뉴욕 유엔본부에서는 북핵 문제를 놓고 주요국 정상들이 한참 토론 중인데 도보로 불과 10여분 거리에서는 한국 투자유치 행사가 성황리에 진행되는 진풍경이 빚어졌다. 북핵 위협에 따른 ‘코리아 리스크’의 경제 먹구름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월가 큰손들 한자리에=참석 인사들의 면면만 봐도 이번 행사의 무게감이 느껴졌다. 본행사에 앞선 사전 코너형식으로 열린 환담식에는 윌버 로스 미국 상무부 장관을 비롯해 월가의 간판스타들이 속속 행사장에 들어섰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두뇌 역할을 해온 헨리 트래비스 KKR 회장이 모습을 비쳤다. 로이드 블랭크파인 골드만삭스 회장, 제임스 포레스 씨티그룹 사장, 다니엘 핀토 JP모건 사장,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회장,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칼라일 회장, 레온 블랙 아폴로 회장, 미국 부통령을 역임했던 댄 퀘일 서버러스 회장 등도 자리를 함께했다.

우리 측에서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필두로 나서 응대했다. 장하성 정책실장, 최종구 금융위원장 등도 동석해 우리 경제의 현황과 향후 비전, 지정학적 리스크(위험요인) 동향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북핵 위기에 대해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포기하고 대화의 길로 나오면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 새로운 경제지도가 그려질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한국은 더욱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자자 러브콜 나선 文=오찬간담회를 곁들인 본행사에서는 투자자들에 대한 문 대통령의 적극적인 러브콜이 이어졌다. 200여명의 청중 앞에서 문 대통령은 “위기가 닥치면 더욱 강해지는 국민,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나라. 바로 대한민국”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국가신용등급이 주요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AA등급에 이르렀고 국가채무 비율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가장 건전한 수준(GDP 대비 38%)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한국은 전 세계 75% 경제영토와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다”며 “(한미 간) FTA 유지는 미국기업들에는 한국시장 진출의 필요조건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미 FTA가 양국 모두에 이익이 됐다며 미국이 개정을 요구해 논의를 위한 ‘특별회기’가 시작됐지만 FTA의 호혜성에 대해 정당한 평가를 바란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정책 비전 제시, 제조업 위기해법은 과제=이날 월가 투자자들의 관심은 북핵이나 FTA와 같은 대외변수보다는 한국 내부변수에 있었다. 정권교체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의 경제 및 사회정책이 과거와 어떻게 다르고 투자자들에게 어떤 영향일 미칠지에 경제계의 이목이 집중됐다는 게 정부당국자들의 설명이었다.

문 대통령도 이를 의식한 듯 현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와 의미를 자세히 언급했다. 가계소득을 높여 인적자본에 투자하도록 유도하는 ‘사람중심 경제’ 정책 기조를 소개했다. 산업정책과 관련해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지능정보화사회를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런 차원에서 교육혁신과 인재육성,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에 대한 투자확대 입장도 밝혔다. 아울러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 신산업 분야 규제개편, 벤처자본과 창업지원을 통해 혁신적인 창업과 신산업 창출이 이어지는 혁신생태계도 만들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문 대통령이 이번 뉴욕 IR 행사 이후 해소 방향을 명확히 해야 할 한국경제의 구조적 위기 요인은 있다. 특히 제조업의 위기에 대해 단기·중기·장기에 걸쳐 대응 로드맵을 제시하고 현 정부의 일자리 및 복지정책이 자칫 기업들의 고용환경 악화로 이해되지 않도록 세심하고 신중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뉴욕=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