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가계부채종합대책·주거복지로드맵 등 정부의 추가 규제안과 풍부한 입주물량이 예정돼 있는 등 주택시장 위축 요인이 중첩돼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정부가 최근 대출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지난 3년처럼 레버리지 효과를 극대화한 투자나 전세와 대출을 끼고 여러 채의 집을 사서 시세차익과 임대수익을 통해 이자를 갚으며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패턴이 앞으로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함 센터장은 또 “당장 이자 상환의 부담을 느껴 보유 주택을 내놓을 정도로 금리가 급격히 상승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금리 인상이 종전의 대출 규제, 입주물량 증가 등과 합쳐지면 거래량과 가격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금리 인상 수준과 속도가 관건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도 “금리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많이 오르면 시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는 일단 수요를 둔화시키는 요인 정도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금리가 갑자기 큰 폭으로 오르지 않는 한 집값이 급랭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에 여러 악재가 대기 중인 만큼 다소 보수적이고 냉정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과거와 같이 저금리를 바탕으로 한 공격적인 ‘갭투자’의 리스크가 갈수록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당장 주택 구입이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시기를 좀 늦춰 타이밍을 보는 게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유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혜진기자 has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