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서울경제 클래식 D-3] 핀크스GC 3대 과제 풀어야 '서경 퀸'

벤트그래스선 정교한 타격 요구

유리판 그린에 '한라산 착시'도

바람 불 땐 다양한 구질·샷 구사

페어웨이 좁은 7번홀 가장 어려워

18번홀은 그린 앞 해저드·벙커…

두 번째 샷 때 압박감 이겨내야

핀크스GC의 18번홀 그린. 국내에서 손꼽히는 아름다운 홀이지만 그린 앞과 옆으로 이어진 개울과 워터해저드가 압박감을 줘 공략이 쉽지 않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SK핀크스·서울경제 레이디스 클래식(27~29일)이 열리는 제주 핀크스 골프클럽은 국가대표급 명문 골프장이다.

지난 1999년 개장한 핀크스GC는 미국의 테오도어 로빈슨이 설계한 전략적인 코스와 제주 특유의 아름다운 풍광이 잘 어우러진 곳이다. 로빈슨은 미국프로골프 투어 메이저대회인 PGA 챔피언십 개최지인 워싱턴주 사할리CC, 하와이 코올리나GC 등 세계 170여곳을 설계한 세계적인 코스 디자이너다. 핀크스는 2008년 3월 84세를 일기로 타계한 거장이 심혈을 기울인 유작이다. 2005년 국내 골프장 최초로 세계 100대 코스에 이름을 올린 곳으로도 유명하다.

제주 자연 특유의 선을 살린 소박하고 정갈한 코스지만 그렇다고 공략이 수월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조형미와 난이도를 절묘하게 배합시킨 홀들은 치밀한 전략과 정확도 높은 샷을 요구한다. 여자골프 한일 대항전인 핀크스컵,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SK텔레콤 오픈, 유럽 투어 발렌타인 챔피언십 등의 국내외 굵직한 대회를 치러내며 국제적인 토너먼트 코스로 검증을 받았다.

우승자가 풀어내야 할 3대 과제는 벤트그래스 페어웨이와 유리판 그린, 그리고 바람이다. 핀크스GC는 최근 대대적인 코스 개선 작업을 진행해 이번 대회가 펼쳐지는 동코스와 서코스의 페어웨이를 최고급 그린 잔디인 벤트그래스로 전면 교체했다. 골프장 측은 카펫처럼 매끈한 코스로 최상의 플레이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게 수개월 동안 공을 들였다. 벤트그래스는 잔디가 짧아 볼이 지면에 거의 붙어 있기 때문에 정교한 볼 타격이 요구된다. 러프 잔디는 질긴 켄터키블루 그래스인데 60㎜ 정도로 길러놓았다. 페어웨이가 좁지는 않지만 벗어나면 클럽헤드가 잘 빠져나가지 않아 세밀한 그린 공략이 힘들어진다.



핀크스의 그린은 평소에도 최소 3.0m의 스피드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회 기간에는 3.2~3.4m의 무시무시한 빠르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 특유의 착시 현상인 일명 ‘한라산 브레이크’ 때문에 퍼트라인을 읽기도 무척 어렵다. 여기에다 제주 서남부 중산간 지역이라 시시각각 방향을 바꾸는 바람이 불 경우 선수들은 다양한 구질과 탄도의 샷을 구사해야 한다.

18번홀(파4·360야드)


이번 대회 코스는 파72에 전장 6,489야드로 세팅된다. 7번홀(파4·420야드)은 이 코스에서 난도가 가장 높은 홀이다. 최대 난제는 긴 거리인데 티샷 착지지점의 페어웨이 폭이 좁고 좌우로 벙커가 위치하고 있어 더욱 부담스럽다. 그린 입구와 좌우에 벙커가 도사리고 있어 굴러서 그린에 올라가는 요행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티샷을 최대한 멀리 보내는 게 유리하다. 12번홀(파4·414야드)은 오른쪽으로 휘어진 형태의 홀이다. 페어웨이 오른쪽 벙커 방향이 지름길로 보이나 벙커 뒤쪽이 러프이기 때문에 왼쪽으로 치는 정교한 티샷이 요구된다. 개울을 넘겨 쳐야 하는 14번홀(파3·182야드)은 긴 데다 그린 왼쪽과 뒤쪽이 해저드 구역이고 그린 앞쪽에 벙커가 입을 벌리고 있다. 18번홀(파4·360야드)은 국내 전체 골프장에서도 손꼽히는 아름다운 홀이지만 공략은 만만찮다. 그린 앞쪽으로 해저드와 개울·벙커가 한눈에 들어와 두 번째 샷을 할 때 압박감이 밀려온다. 장애물을 넘기느라 그린 뒤편에 볼을 올리면 까다로운 내리막 퍼트를 남기게 된다.

/서귀포=박민영기자 my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