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이 됐지만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해 부모에게 경제적·정서적으로 의존하는 일명 ‘캥거루족’이 전체 청년층의 57%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7일 오호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에서 한국노동연구원이 주최한 ‘2017년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를 통해 ‘캥거루족 실태 분석과 과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오 선임연구위원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해 20∼34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캥거루족에 해당하는 성인이 631만7,494명으로 전체의 56.8%에 육박했다고 전했다. 캥거루족은 캥거루족에 속하지 않는 같은 연령대보다 경제활력 지수가 11.8% 낮았고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지수 역시 9% 정도 떨어졌다. 오 연구원은 “캥거루족은 경제활력도가 낮고 한국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다는 점에서 취업기회 확대를 통해 이들의 자립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을 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무직자를 의미하는 ‘니트족’(NEET: Not in Employment, Education, Training)은 총 156만 명으로 전체 15∼29세 연령층의 16.6%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김기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청년 니트(NEET)의 정의와 결정요인’ 발표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학원과 직업훈련기관 통학자 포함)으로 타 국가들과 비교하면 한국의 청년 니트족 비중은 18.9%로 전체 평균(13.9%)보다 5.0% 포인트나 높은 수준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세대 이행기 삶의 자신감 수준과 영향요인’ 주제 발표를 통해 “청년세대는 안정적인 주거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자녀 출산과 육아를 해결할 수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청년정책은 일자리정책’이라는 틀에서 접근하기보다 20대 후반 및 30대 초반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주거정책에도 무게를 두고 정책을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