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민형배 신임 자치발전비서관은 지난 2007년 사회조정비서관을 지냈지만 11년 만에 다시 청와대 비서관으로 돌아왔다. 1961년생으로 최근 임명된 6명의 비서관 중 나이가 가장 많다. 김영배 정책조정비서관도 2007년 행사기획비서관을 지냈지만 비서관으로 컴백한 경우다. 김 비서관은 2010년·2014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 성북구청장에 당선된 경력이 있다. 김우영 제도개혁비서관도 2010년·2014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 은평구청장에 당선됐다. 청와대 내에서조차 “비서관의 몸값이 너무 뛴 것 같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청와대 비서관 인사에서 OB가 대거 포진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청와대 비서관은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기 때문에 믿고 쓸 수 있는 사람을 쓸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권 초 청와대 근무가 본인의 경력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어 OB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는 해석도 있다.
이에 대해 과거 청와대 근무경력, 지방자치단체 운영 경험 등을 살려 국정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론이 있지만 청와대의 힘이 더 세질 것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경력이 빈약한 정치인이나 정권에 지분이 없는 관료보다 입김이 강한 인물이 비서관에 앉아 더 많은 사안에서 청와대의 영향력이 발휘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현재 청와대는 책임장관제를 시행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전 약속과는 달리 대부분의 사안을 청와대 중심으로 이끌고 가는 ‘청와대 정부’를 구축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