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는 13일 경남도청에서 가진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3만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제조 중소기업의 절반을 스마트화한다. 이는 기존 2만개였던 구축목표를 1만개 늘린 것으로, 2020년 시행되는 노동시간 단축 시행기업과 뿌리산업 등 생산성 향상 효과가 큰 전략업종을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스마트공장 설비 투자자금을 위해 산업은행이 1조원, 기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이 각각 5,000억원을 지원하며, 정부와 지자체와 중소기업이 각각 4 대 2대 4의 비율로 매칭하는 지역주도형 지원 모델도 신설한다.
대기업도 구축지원에 나선다. 먼저 내년부터 대기업 퇴직 우수 기술전문가인 일명 ‘스마트 마이스터’ 100명을 중소기업에 파견한다. 이들은 스마트공장 구축 컨설팅·기술지원·사후관리·노하우 전수 등을 담당한다. 구축지원에 참여하는 대기업은 동반성장지수 평가시 우대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이 밖에도 전국 단위의 제조 데이터 수집·분석·활용이 가능한 빅데이터 센터·플랫폼을 구축하며, 스마트공장 거점 특성화고를 지정하고 관련 기술분야 자격증을 지원하는 등 2022년까지 10만명의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을 양성한다.
스마트산단을 통한 산단혁신도 진행한다. 데이터의 연결·공유를 통해 기업 생산성과 근로자 삶의 질을 향상하는 ‘스마트산단’을 오는 2022년까지 10개 조성한다. 이를 위해 산단 내 공장과 산·학·연 간 데이터와 자원을 연결·공유·활용할 수 있는 산단 산단형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활용해 수요기업은 예지정비 등 공정을 혁신하고 공급기업은 수요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며, 산단은 유휴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식이다. 특히 산단 내 휴·폐업공장을 리모델링한 스마트창업센터를 구축하고 저렴한 비용에 입주가 가능하게 해 창업을 촉진하며 신제품 개발·사업화의 걸림돌 제거를 위해 산단 입주업종을 대폭 확대하는 네거티브존도 도입한다. 또 고위험 업종에 협동로봇을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지원대상에 노동자의 위험을 줄이는 목적의 시설과 장비를 추가하는 등 산업재해 30% 감소를 목표로 안전한 일터 환경 조성도 추진한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보급을 통해 기업당 일자리가 2.2명, 종사자 1인당 2억8,000만원의 매출액이 증가해 총 6만6,000개의 일자리와 18조원의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단순 노무인력이 고급 지식인력으로 전환되고 근로시간도 단축돼 좋은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설명이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과거에는 불량품을 일일이 검사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지금은 관제실에 앉아서 불량률을 자동으로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이 때문에 과거에는 불량품을 찾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했다면 이제는 불량품이 나온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인력이 더 필요한 만큼 고급인력이 점점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연하기자 yeo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