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인터뷰]‘늘 푸른 연극제’ 전무송, “늙은이들의 연극제 아냐”

원로의 의미 되새기는 연극 축제

모든 예술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건 “긍정적인 마음"

대한민국 연극계에 기여한 원로 연극인을 기리는 ‘늘 푸른 연극제’가 연극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관통해 연극 정신을 이어나가기 위한 힘찬 발걸음을 계속 하고 있다.

지난 5일 개막한 제4회 ‘늘푸른연극제 ’가 묵직한 울림을 전했다. 2016년 제1회 원로연극제를 시작으로 올해 4회를 맞이했다. 2019 늘푸른연극제는 ‘그 꽃, 피다.’라는 부제를 들고 나왔다. 원로 연극인의 예술혼과 연극계가 가야 할 새로운 지표, 그리고 뜨거운 예술혼을 ‘꽃’이란 부제에 담았다.

최근 대학로에서 만난 ‘늘 푸른 연극제’ 운영위원장인 전무송 배우는 “‘늘 푸른 연극제’ 가 나이 먹은 원로들의 축제, 즉 늙은이들의 연극제가 아니다”고 일침했다. 그는 “나이가 먹어서도 ‘늘 푸르게 움직이는 존재’가 ‘원로’이다” 며 “ ‘선배들이 늙어서도 힘차게 무대에 오르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후배 연극인들에게도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사진=양문숙 기자




지난 2016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늘 푸른 연극제’는 원로 연극인들이 우리 시대 노인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힘 있게 전달한다. 이번 축제에선 개막작 ‘하프라이프’를 시작으로 ‘의자들’, ‘나는 그녀를 사랑했네’, ‘황금 연못에 살다’, ‘이혼예찬!’, ‘노부인의 방문’ 등이 무대에 오른다.

올해 무대에 오를 작품은 공모작 총 17편 가운데 선정된 6편이다. 올해는 연출가 표재순, 작가 윤대성, 배우 김경태, 김동수, 박웅, 이승옥, 주호성, 오영수, 박봉서 등 이 참여한다.

지난해까지 공연 작품을 선정했지만, 올해 공모방식으로 바꿨다. 서현석 운영위원(한국소리문화의전당 대표)은 “원로 연극인 참여가 많아져 고루 기회를 주기 위해 공모방식으로 작품을 선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선정을 통해 3회까지 축제를 진행해왔는데, 보다 현실적으로 원로들의 작품을 모아서 선정하는 공모형식을 도입했다.

이에 대해 전무송 위원장은 “70세 이상이 원로 분들이 우리 연극계에 많다. 그 속에서 누구를 추천하고 또 누구를 선정 작에서 빼게 되면 부작용이 생겨나 공모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 이번에 모시는 배우 외에도 아직도 원로 배우가 많다. 매년 순서의 차이는 있겠지만 올해 참석 못 한 배우들은 계속 기회를 드리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줄서기나 실력 우위의 경쟁을 내세운 연극 축제가 아니다. 오랜 연륜으로 활동한 연극인들이 대표 무대를 보여주는 자리다. 전 위원장은 “모든 예술에 갈등과 경쟁이 많은데, ‘늘 푸른 연극제’ 만큼은 시기하거나 미워하는 마음 없이, 좋아하는 연극을 즐기는 분들이 함께 해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나이를 먹으면 원로가 된다. 좋은 원로가 돼서 무대에 설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그 모습을 본 후배들은 용기를 낼 수 있었으면 한다. 후배 연극인은 원로 배우들이 치열하게 무대에 서는 모습을 통해 연극의 자세를 배우는 의미가 있다. 지금 힘들지만 열심히 하다 보면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 말이다. ”

전무송 위원장은 “‘늘 푸른 연극제’ 만큼은 시기하거나 미워하는 마음 없이, 좋아하는 연극을 즐기는 분들이 함께 해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전무송 위원장은 “‘늘 푸른 연극제’ 를 올리면서 한 쪽으론 연극에서 멀어지는 관객들을 다시 불러들일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 있다.”고 말했다.


‘늘 푸른 연극제’는 원로 연극인들의 축제이지만 젊음의 정신으로 관객과 호흡하고 창작 의욕 등을 새롭게 선보이는 열정의 축제를 지향한다. 전 위원장은 “관객들은 옛날 배우들을 무대를 보면서 과거를 회상할 수 있지 않겠나. 정신적 깨우침이라고 할까. 연극 문화예술이 그런 마음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늘 푸른 연극제’ 를 올리면서 한 쪽으론 연극에서 멀어지는 관객들을 다시 불러들일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 있다. 대학로가 이전 관객들을 잃어버렸다고 말하는데, 이게 결국 관객의 책임이 아니라 연극인들의 책임이다. 연극인들이 ‘돈’ 때문이란 이유만 붙일 게 아니라 계속 연극을 했었어야 한다. ”



“이렇게 ‘늘 푸른 연극제’를 통해 옛 배우들이 오랜만에 연극 무대에 오르니까 ‘보자’는 마음도 생길 것 아닌가. 작년에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을 하니까, 관객들에게 그런 말을 들었다. 내가 섰던 어느 무대를 이야기하면서 ‘잘 봐서 또 보러 왔다’ 고 말이다. 관객들에겐 과거에 봤던 작품. 배우들을 보고 싶어하는 마음이 은연중에 있다. 그런 관객들의 마음을 충족시켜 줄 수 있을 거라고 본다.

늘 푸른 연극제는 ‘혼자’가 아닌 ‘함께’ 하는 축제이다. 전 위원장은 “연극이란 게 혼자선 할 수 없다. 또 어떤 이득을 얻고자 하는 게 아니다. 좋은 의미에서 함께 즐기는 축제, 행복한 축제가 되었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57년간 연극과 함께 살아온 배우 전무송은 “모든 예술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건 긍정적인 마음이다”고 전했다.


“항상 연극 작업을 하려면 ‘돈’ 때문에 고생하는 경우가 생긴다. 제작비 때문에 진 빚을 갚으려면 작업 이후에도 고생이 이어진다. 그런 부담을 조금 도와줘서, 걱정 말고 무대 작업을 할 기회를 마련해 주는거다. 물론 넉넉하게‘충분히’는 못 도와주는 예산이다. 다만 선발된 원로에겐 얼마의 돈을 줘서, 연극 작업을 하는 동안엔 보람 있게 쓸 수 있게 예산을 지원해준다.”

“좋은 의미에서 즐기는 축제가 되었으면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호간에 작업할 때, 아팠던 기억, 힘들었던 기억을 내려 놓고, 즐거운 마음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판을 깔아주는거다. ‘그런 마음으로 연극을 하자’ 가 기본 의도이다. 연극은 우리가 좋아서 하는 것이다. 연극으로 밥 벌어먹겠다고 하는 게 아니다. 그걸 해서 행복한 게 본래의 마음이다. 이런 마음이 전체 연극계에 퍼지면, 작업 하기 위한 돈을 벌기 위해 고생했던 마음들이 조금이나마 위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게 ‘늘 푸른 연극제’ 기본의 마음이다.”

연극계에 평생 몸담은 원로 배우들이 내놓는 작품 속엔 ‘연극 혼’이 담겨 있다. 전 위원장은 ‘원로’의 정의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다. 그는 “늙었다고 권위 내세우는 원로는 불쌍해보이고 추해보인다” 며 “오랜만에 동료들을 만나서 즐기면서 작업을 하는 연극인이 ‘원로’이다‘고 말했다. 이어 ”후배들이 아주 신나게 기량을 발휘할 수 있게 도와주고, 훌륭한 예술활동을 하는 것에 박수 쳐주는 이가 진정한 원로이다”고 소견을 전했다.

유치진의 연극아카데미 1기생으로 시작한 전무송은 1964년 ‘춘향전’으로 데뷔 후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무대를 지켜왔다. ‘하멜태자’ ‘고도를 기다리며’ 등을 비롯해 TV드라마 ‘원효대사’ ‘마의태자’, 영화 ‘만다라’ 등 많은 화제의 작품을 남겼다.최근 데뷔 50주년 기념작 ‘보물’에 이어 ‘세일즈맨의 죽음’ 등으로 관객을 만났다. 2018년 제8회 아름다운예술인상 시상식에서 연극예술인 부문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50년 이상을 연극에 매진할 수 있었던 그의 원동력은 ‘긍정적인 마음’에 있었다. 모든 예술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건 “ 긍정적인 마음이다”고 설파하기도 했다.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면 길이 보인다면, 부정적인 마음을 가지면 ‘벽’만 보일 뿐이다. ‘가능해’ 란 마음 속에서 나오는 그게 ‘길’이다. 그런 마음으로 이 연극 작업을 하면 좋은 결과가 생긴다. 그건 틀림없다. 흔히들 이러 이러한 이유로 주춤거리고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되면, 그런 생각을 하는 만큼 갈등이 생기고 힘들어지는 게 ‘연극 작업’이고 인생인 것 같다라.”

한편 제4회 늘푸른연극제 ‘그 꽃, 피다’는 오는 22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아트원씨어터 3관,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공연되며, 개막작인 표재순 연출의 연극 ‘하프라이프’는 25일, 26일 양일간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공연된다.

/정다훈기자 sesta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