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무역과 첨단기술에 이어 북극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5일 보도했다.
SCMP는 미국이라는 공동 적수를 두고 중국과 러시아가 밀착하는 가운데, 러시아 시베리아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중국으로 공급하는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이 가동에 들어가면서 주변의 북극해가 관심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의 북극해 해안선은 2만4,000여㎞에 달하며 자원이 풍부한 이 지역에 중국의 투자가 가능하다는 관측에서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극동연방대의 아르템 루킨 교수는 “서방의 제재를 받는 러시아가 중국의 투자를 통해 북극을 개발하려고 한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이미 지난 2018년 1월 북극정책 백서를 통해 자국을 ‘근(近)북극 국가’로 규정하며 북극 항로의 개발·이용을 통해 ‘빙상 실크로드’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북극도 중국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의 범위에 포함하겠다는 구상이었다.
몇 개월 후 본격화한 양국 간 무역전쟁으로 이 문제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해 5월 제17차 북극이사회 각료회의 연설에서 이러한 중국의 주장을 일축하면 오히려 논란을 키웠다. 폼페이오 장관은 당시 “오직 북극 국가와 비(非) 북극 국가만 존재한다”며 “중국에는 아무런 권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북극에 대한 관심은 빙하가 빠르게 녹으면서 이 지역 항로의 이용가치가 커지는 데 따른 것이다. 북극해를 이용할 경우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북극 항로가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것보다 10~12일 정도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SCMP는 “북극이 아직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지출에서 최우선 순위가 아니겠지만 중국에 매력적인 것은 분명하다”고 전했다.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덴마크령인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밝혔던 것에 대해 중국 매체들은 일회성 헤프닝이 아닌 미국이 보다 강력하게 북극을 통제할 의도로 보고 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