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법원이 ‘일제 강제징용 일본 기업 자산에 대한 압류 명령’을 결정한 데 대해 일본 정부가 반발하며 추가 보복조치를 시사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4일 기자회견에서 일본 기업의 자산이 강제 매각될 경우 “관련 기업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일본 기업의 정당한 경제활동 보호 관점에서 온갖 선택지를 시야에 넣고 계속 의연하게 대응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는 일본 기업의 자산이 실제 현금화할 경우 맞대응할 것이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한국 측에 발신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일본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악화와 한일갈등에 따른 피해 누적 등을 고려해 추가 보복조치에 즉각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아베 신조 정부는 한국 법원의 강제매각 절차를 추가 보복조치의 마지노선으로 제시하며 한국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본 기업의 자산이 강제매각 절차에 돌입하는 상황을 가정해 “그렇게 될 경우 적당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이날 정부 관계자가 “실제로 자산 매각을 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는 선”이라고 설명했다고 일본 정부의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관련 기업인 일본제철(옛 신일철주금)도 한국 법원의 압류 명령에 대해 즉각 항고할 뜻을 내비쳤다. 이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 정국에서 일본 기업이 한국의 사법절차에 응한 첫 번째 사례다. 즉시항고를 하면 법률적으로 압류 명령 집행정지 효력이 발생하는 만큼 실제 현금화 조치까지 한일은 협상 기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국 정부도 일본의 추가 경제보복 조치 시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대화를 통한 해결을 일본 측에 거듭 강조하고 있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구체적인 대응방안은 구체적인 조치가 나왔을 때 실제 대응이 될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하며, 외교채널을 통한 문제 해결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임과 일본 정부의 보다 적극적이고 성의 있는 호응을 기대한다”고 수위 조절에 나섰다.
아베 신조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일본 내부의 국면전환을 위해 초강경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도 여전하다. 한국 정부도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등 모든 대응수단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지소미아는 날짜에 구애받지 않고 우리 정부가 언제든지 종료 가능하다”고 밝혔다. /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