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美 '정보보안' 앞세워 틱톡 빅딜 어깃장 놓나

오라클 '기술협력' 수준에 그쳐

알고리즘은 소유 않기로 '타협'

검열·유출 의혹 불식은 미지수

트럼프, 對中공세 고삐 당길수도

미국 행정부가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과 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앱 틱톡 간 거래가 적절한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오라클에 ‘완전매각’이 아닌 ‘기술협력’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완전매각하지 않아도 틱톡이 정보유출 의혹을 불식시킬 수 있는지가 이번 거래의 성사 여부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승인의 최종 결정권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어서 결국 대통령의 대중(對中) 행보를 끝까지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현지시간)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지난주 말 오라클로부터 틱톡 입찰제안서를 받았다”며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IFUS)가 이번주 제안서를 검토해 대통령에게 권고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틱톡 역시 미 재무부에 제안서를 제출한 사실을 인정하며 “틱톡이 계속 미국에서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발표했다.





므누신 장관과 오라클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오라클과 기술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오라클이 틱톡 알고리즘을 갖지는 않지만 미국인 데이터를 보관,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중국 매체 차이신은 “애플이 중국 윈상구이저우와 데이터 관리에서 협력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라고 보도했다. 애플은 중국 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는 중국에 서버를 두고 현지 기업과 협력해야 한다는 법에 따라 윈상구이저우와 함께 중국에서 아이클라우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문제는 알고리즘까지 넘기는 완전매각 없이도 틱톡의 정보유출 의혹을 잠재울 수 있을지 여부다. 맥쿼리리서치의 세라 힌드리안볼러 분석가는 “중국 정부가 틱톡의 콘텐츠를 검열하거나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면 안 된다는 미 당국의 요구가 충족되려면 오라클이 알고리즘을 소유해야 한다”고 블룸버그통신에 전했다. 미 로펌 킹앤드스콜딩의 한 변호사도 “CIFUS가 틱톡에서 무슨 데이터를 이용하고 어디에 보관하며, 잠재적으로 누구에게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를 모두 확인해야 비로소 거래 승인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CIFUS가 중국 기업에 강경하게 나왔던 전례도 있다. CIFUS는 중국 스지정보기술이 미국 호텔 자산관리 업체 스테이엔터치를 인수하자 “고위급 인사의 숙박 기록 등 민감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인수 무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에는 미국 관리를 협박하는 데 악용될 우려가 있다면서 중국 쿤룬에 미국 데이트 앱 그라인더의 매각을 압박하기도 했다.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율 제고를 위해 강경한 대중 정책을 펼쳐 완전매각을 고수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집권하면 중국이 미국을 지배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중국 때리기로 지지층 결집에 나서고 있다. 화웨이의 반도체 구매 금지가 본격화한 것도 양국 갈등의 불씨로 작용해 거래의 돌발변수가 될 수 있다.

다만 CIFUS의 결정을 무력화할 수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거래를 허용할 수 있다는 분석에도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자신의 오랜 지지자이자 금전적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는 래리 엘리슨 오라클 최고경영자(CEO)와의 친분 때문이다. 지난 8월 트럼프 대통령은 오라클의 틱톡 인수를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바이트댄스 역시 이러한 점을 감안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아닌 오라클을 최종 협력 파트너로 지목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유튜브는 이날 틱톡과 유사한 서비스 쇼츠의 시범 서비스를 인도에서 시작한다고 밝혔다. 쇼츠는 15초 이내의 동영상을 통해 다른 이용자와 소통하게 돕는 서비스다. 전문가들은 첫 출시 국가가 인도라는 점을 두고 유튜브가 틱톡의 빈자리를 겨냥했다고 분석했다. 인도 정부는 안보 우려를 이유로 자국 내 틱톡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곽윤아기자 or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