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공동연구팀이 액체 상태의 입자가 단단한 유리로 변하는 순간을 관찰해 임계점에서 유리 입자의 움직임을 밝혀냈다. 이에 따라 유리에 새로운 성질을 부여하는 신소재도 개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스티브 그래닉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연구단 단장(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특훈교수)과 보리 선임연구원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함께 12일 네이처에 액체 상태 유리 입자 하나를 레이저로 자극해 주변으로 움직임이 퍼져나가는 양상을 관찰, 임계점에서 유리 입자의 이동성 증가와 집합적인 움직임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유리는 입자들이 높은 온도에서는 무질서하게 배열돼 액체와 비슷한데 온도가 내려가면서 높은 점성이 나타난다. 유리가 단단해지는 이유는 주변 입자들에 둘러싸이며 입자가 움직이지 못하는 ‘케이지 형성’ 때문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관측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개별 콜로이드 유리 입자를 자극할 수 있을 만큼 강하고 집중된 펨토초 레이저를 개발하고 이 레이저로 입자 한 개를 자극한 뒤 주변 입자들로 움직임이 퍼져나가는 양상을 분석했다. 콜로이드는 입자 크기가 1~100㎛로 나노입자보다 커서 관찰이 쉽고 작은 에너지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펨토초 레이저는 10의15제곱(펨토)인 1,000조분의 1초에 에너지를 집중해 매우 큰 출력을 낸다.
그 결과 콜로이드 유리 입자들은 임계점에서 입자 이동성이 가장 크게 증가하며 케이지 형성의 특징인 집합적 움직임이 나타났다. 입자들이 임계점에서 가장 많이, 가장 멀리 이동해 변형되기 쉬운 상태가 될 뿐 아니라 개별적으로 움직이던 입자들이 집합적으로 움직인 것이다. 이는 유리 전이 과정이 금속과 달리 서서히 일어난다는 기존 관념을 뒤집고 임계점에서 입자가 갑자기 ‘케이지 구조’를 형성한다는 것을 뜻한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