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뒤늦게 올해 물가 상승률과 경제 성장률이 한 달 전 내놓은 전망치를 웃돌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총재는 물가와 성장률 전망을 높여 잡은 것이 시장에 긴축 신호로 받아들여져 금리 인상을 부추길 가능성에 “지금은 인플레이션 리스크 확대를 우려해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상황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다만 “그간 시행해온 이례적인 완화 조치를 정상화해 나갈 준비 중요한 과제”라고 밝혀 향후 출구전략을 놓고 고민이 적잖음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24일 출입기자단과 주요 현안에 대한 서면 문답을 통해 "유가 상승 폭이 커지고 농축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3%)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물가안정 목표수준(2%)을 하회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은은 지난달 25일 이 총재가 주재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올 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3%로 소폭 올리고,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3.0%를 유지한 바 있다. 지난달 초부터 국제유가 및 원자재, 곡물가 급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세계 경제 회복세에 따른 수출 호조로 물가 및 성장률 전망치를 제 때 적절히 상향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한은 전체가 미적거리다 뒤늦게 기자들의 요청에 경기 상황을 재평가하며 물가와 성장률 전망치를 올린 셈이다.
이 총재는 이날 올 해 성장률에 관해서도 "성장경로에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종전 전망치(3.0%)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예상보다 높은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세, 추가경정예산안의 집행을 배경으로 꼽았다.
하지만 기업의 설비투자 확대를 이끄는 수출 증가세는 한 달 전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동결해 제시할 때도 나타났고 정부 추경안 역시 가닥이 잡힌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 총재가 뒷북 대응을 했다는 비판은 면하기 어렵다. 실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은이 올 해 경제지표 수정 전망을 한 지 2주 만인 지난 9일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3.3%로 상향해 한은을 머쓱하게 했다.
이 총재는 올 해 물가와 성장률을 한달 만에 높여 제시해 시장의 ‘인플레 공포’가 커지고 이는 다시 금리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에 “인플레 리스크 확대를 우려해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상황은 아니다”고 수습했다. 그는 이어 "현재로서는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서둘러 조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혀 내달 중순 열릴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현행 0.50%) 동결을 강하게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인플레 상황에 대해선 “그동안 ‘억눌렸던 수요(pent-up demand)’가 분출될 경우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 이라면서도 “경제 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와 공급 측면의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게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물가 상황을 주의 깊게 살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물가와 경기 상승세를 수용하면서 금융시장이 민감해하는 한은의 긴축 전환 우려를 최소화하려 애썼지만 유동성 거품이 커질 수 있어 ‘출구(EXIT)정책’이 가까워지고 있는 것도 숨기지 않았다. 그는 내년 3월 말까지 1년 남은 임기에 집중할 과제로 "향후 성장과 물가 여건이 개선될 경우 그간 시행해온 이례적인 완화조치들을 어떻게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갈지에 대해 미리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적시했다.
이 총재는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부문·계층간 불평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며 “취약부문의 ‘상흔효과’가 소득 불평등의 개선을 저해하고, 디지털기술 변화에 대한 개인의 적응과 교육 기회의 격차도 소득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손철 기자 runiro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