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해 5,000명에게 처음으로 지원한 ‘청년월세’ 지원규모를 올해 5배 이상 확대한다고 7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2일 이와 관련한 추가경정예산 179억원을 추가 확보한 바 있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 5,000명을 선정해 청년월세를 지원한 데 이어 하반기에 2만2,000명을 추가 선정하고 10개월간 월 20만원을 지급한다. 상반기 대상자 선정 당시 모집 인원의 7배에 달하는 3만6,000여 명의 청년들이 지원할 정도로 정책 수요가 높았던 만큼 하반기에는 대상자를 대폭 늘렸다. 서울시는 청년월세 지원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정책 수요의 적체를 해소하고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선정된 지원 대상자 설문조사 결과 청년월세 정책에 대한 청년들의 체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한 청년들은 △주거(98.7%) △경제(95.6%) △생활(98.7%) 등 부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답했다.
주거 부문에서는 응답자의 48.6%가 ‘주거비 부담이 완화됐다’고 답했다. 경제 부문에서는 68.4%의 청년들이 생활하는 데 전반적으로 여유를 갖게 됐다는 점을 가장 큰 변화로 꼽았다. 생활 부문에서는 △심리적 안정(32.2%) △식생활 및 생활 전반적인 개선(26.9%)에 대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청년월세 지원사업이 끝난 후 월세 충당 계획에 대해 청년들은 △생활비 절약 또는 저축금액 감소(40.1%) △아르바이트 시작 혹은 추가(17.0%) △모아둔 저축액에서 충당(14.9%) △임차보증금 높이고 월세 줄여(8.1%) △가족친지 도움(6.8%) △거주조건 하향(6.1%)이라고 답했다.
한편, 서울시는 올 상반기 청년월세 사업에 최종 선정된 5,000명 청년들의 현황도 분석해 발표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56.8%로 많았다. 연령대는 20대 후반(25~29세)이 44.6%로 최다였고, 20대는 전체의 76.8%를 차지하고 있다. 직업군은 사무직 24.9%, 무직 22.3%, 학생 19.5%, 판매영업서비스(세일즈맨, 미용사, 판매원, 배달원 등) 15.1%, 전문자유직(예술인, 종교인, 사회활동가 등) 12.9% 순이었다.
또 전체의 75.3%가 단독?다가구·다세대 주택 등 주택가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평균 소득은 111.2만 원이었다. 임차면적은 약 19.7㎡, 월세는 39.0만 원, 임차보증금은 828.9만원이고 1,000만 원 이하가 대다수(86.3%)였다. 이 중 반지하 등 주거환경이 열악한 비적정주거지 거주자는 1,800명(36.0%)이었고, 임차면적의 평균은 17.2㎡(5.2평)으로 나타났다. 청년월세지원 사업 신청자 총 3만5,679명 중 비적정주거지에 사는 9,636명(27.2%) 보다 비율이 18.7% 높았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코로나 피해 장기화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중장년층도 자녀들에 대한 지속적인 주거비 지원으로 부담을 안고 있는 실정”이라며 “서울시가 청년들의 주거 안정과 주거비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청년 주거실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주거정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오는 27일 하반기 청년월세 지원 모집공고를 내고 내달 10일부터 19일까지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