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귀한 작품을 왜 구기고 접었는가?

성균관대 박물관 기획전 '감식안'

서화,도자 80여점…위작도 전시

진위 구분의 안목 중요성 보여줘

백범 김구의 '행복'을 한지에 인쇄한 위작이 성균관대 박물관 기획전 '감식안'에 전시중이다.




귀해 보이는 서예 작품이 ‘접힌 채’ 전시 중이다. 굵고 힘찬 서체로 행복(幸福)이라 적은 글씨 옆에 백범 김구(1876~1949)가 썼다는 서명과 함께 붉은 낙관까지 찍힌 작품이다. 사실 이것은 가짜다. 비슷하게 흉내 내 쓴 것도 아닌, 인쇄본 위작(僞作)이다. 한지에 글씨를 인쇄한 후 낙관만 인주를 묻혀 찍었다. 접힌 뒷면을 보면 시간의 경과로 낙관 찍은 자리에서는 기름이 흘러나온 반면 ‘행복’이라는 글씨 자리는 먹 스민 기운조차 없이 깔끔하다. 작품을 접은 채 전시한 이유는, 이처럼 앞면에서 드러나지 않은 위작의 흔적을 뒷면에서 직접 확인해 보라는 뜻에서다.

백범 김구의 '행복'을 한지에 인쇄한 위작이 성균관대 박물관 기획전 '감식안'에 전시중이다.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박물관이 기획전 ‘감식안-창조와 모방의 경계’을 열고 있다. 진작과 위작을 가려내는 ‘감식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서화와 도자 80여 점을 선보였다. 과감히 위작도 함께 내놓았다. 가짜 옆에는 빨간 딱지를 붙였다.

소정 변관식(1899~1976)의 산수화 2점은 아래위로 나란히 걸렸다. 변관식은 조선의 마지막 화원 소림 조석진의 외손자로 전통의 기반 위에 독창적 화풍을 정립해 근대기 한국 서화의 대표작가로 꼽힌다. ‘이건희 컬렉션’에도 다수의 수작이 포함된 인기 화가이기도 하다.

소정 변관식의 산수화 2점 중 위의 것은 진작인 반면 비슷한 크기와 구도를 가진 아래 작품은 위작이다.


전체적인 구도, 소재의 배치, 거친 붓질 같은 기법상의 특징이 거의 흡사해 일반인이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빨간 딱지는 아래에 붙어 있다. 위에 걸린 것이 진작, 아래가 위작이라는 뜻이다. 소정은 그림 위에 한자로 화제를 쓰면서 풍경에 대한 작가의 감상에 해당하는 시구를 인용해 적었다. 제작 시기와 장소를 덧붙인 다음, 자신의 호를 쓰고 인장을 찍는데, 아래 ‘가짜’에는 그린 때와 장소가 적혀있지 않다. 결정적으로 위의 그림에서는 낙관이 선명한 반면 아래 그림에서는 낙관 쪽에 기름이 흘러 번졌다. 변관식은 당대 최고급 인주를 사용했건만, 유독 이 작품에서만 인장이 흐려진 것은 의심할 만한 대목이다. 안목 있는 수집가인 소장자는 수십 년 전, 고가에 이 작품을 사들였다고 한다.

김돈희가 오세창에게 써 준 휘호 ‘작여시관’. 작품을 오세창처럼 보라는 자부심과 존경의 뜻이 담겨 있다.


감식안의 역사…근대적 감정 선구자 오세창


이번 전시의 출발지점은 간송 전형필이 문화재를 수집할 때 감정을 주도했던 위창 오세창(1864~1953)의 감식안이다. 황정수 미술평론가는 “예로부터 미술품에 위작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중국으로부터 출판된 화보가 들어와 조선의 서화 애호가들 사이에서 위작 서화들이 유통되기도 했다”면서 “근대적 의미의 미술품에 대한 감식안은 고증학 연구와 밀접한 추사 김정희에서 제자인 오경석과 그의 아들 오세창으로 이어졌고, 오세창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화가 사전이라 할 만한 ‘근역서화징’ 집필 등으로 후세를 위한 박대한 미술사 연구 자료를 남겨줬다”고 분석했다.

성균관대 박물관은 오세창이 펴낸 ‘근묵’(34책)을 소장하고 있다. 포은 정몽주부터 근대기 서화가 이도영의 친필까지 600년에 걸친 문인들의 간찰(편지) 1,136점을 묶은 것으로 약 850명 역사적 인물들의 각종 글씨체를 두루 담고 있는 귀한 유물이다. 전시는 여기서 착안해 감상과 감정의 역사를 짚어본다.

오세창의 '근묵'은 600년 역사를 관통하는 문인들의 간찰들을 모은 보물급 문화재다.


송나라 유학자 주희는 “작품의 외적 형식미보다 작가의 마음이 담긴 필의(筆意)와 더불어 왜 작가가 그런 글씨를 썼는지 이해”하는 것을 감상법으로 제안했다. 이를 받아들인 퇴계 이황은 “글씨를 잘 쓰거나 못 쓰는 것보다 태도가 중요”하다고 했다. 율곡 이이 역시 “문무책(文武策)에서 도(道)가 드러난 것을 문(文)이라고 하니, 문은 도를 꿰뚫는 그릇”이라고 풀이했다. 이 같은 서화 감상과 감정의 방법론은 추사 김정희에 이르러 “금강안(金剛眼) 혹리수(酷吏手)”, 즉 금강역사와 같은 무서운 눈과 혹독한 관리의 손끝 같은 치밀함으로 정리된다. 추사는 또한 ‘문자에서 향기가 피어나고 책에서 기운이 풍긴다’는 뜻의 “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券氣)”로 마음을 담아 표현하는 예술인 작품에 독서와 수양을 통해 갖춰진 인품이 투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위작으로 판단된 추사 김정희의 간찰.




추사도 위작이 많은 편이다. 전시된 ‘김정희 간찰 위작’은 조선 시대의 간찰이 통상 봉투 폭 2배 정도의 여백을 두고 쓰여지는 데 반해 봉투의 흔적이 불분명하고 편지 내용도 전체 중 일부만 담겨있다. 박물관 측 관계자는 “김정희의 글씨를 연습용으로 임모했다 하더라도 여백에 빼곡하게 쓴 것까지 베껴 쓴 것은 공부 외의 목적이 다분하다고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진(眞)과 위(僞) 사이에 방(倣)이 있다


진위 구분은 중요하나 어렵다. 게다가 결과물을 중시한 서양의 미술과 달리 동양의 미술에는 진(眞)과 위(僞) 사이에 ‘방(倣)’이 있었다. 성균관대 박물관 측은 “동양의 미술은 모방을 단순한 흉내내기가 아닌 창조로 나아가는 구도의 과정으로 이해했다”면서 “임모(臨募)는 그 자체로 하나의 미술 영역으로 인정되고, 방(倣) 역시 예술 행위로 인정됐다”고 설명한다.

작자미상의 19세기 부채그림(아래)에는 후세의 감정가가 단원 김홍도의 작품이라 적어놓는 바람에 위작 딱지가 붙었다. 위쪽 그림은 정조의 사위 홍현주가 흠모하던 그림을 모방해 그린 것으로, 화제에도 ‘방’이라 적어두었다.


전시된 작자미상의 부채그림 산수화에는 ‘억울한’ 빨간 딱지가 붙어있다. 화격(畵格·그림의 품격)이 고아한 작품이다. 문제는 그림 왼쪽에 적힌 글귀다. 명성과 감식안이 두루 높았던 관재 이도영(1884~1933)이 단원 김홍도의 작품이라며 ‘단구선생유적(丹邱先生遺蹟)’이라고 써 놓은 것이다. 19세기 초반의 한 이름 모를 화가가 단원 화풍을 흠모해 방했던 것일지도 모를 진작(眞作)이 졸지에 위작으로 돌변했다. 흔히 위작은 진품으로 보이기 위해 작가의 서명이나 낙관을 위조해 덧붙인다. 이 작품의 경우 요즘식으로 말하자면 ‘진품 보증서’가 위조된 사례라 할 수 있다. 감식안 갖춘 전문 감정가도 가끔 실수를 할 때가 있다.

소치 허련의 '입극도'


안목감정과 과학감정을 모두 동원해도 작가를 확정 짓기 어려울 경우에는 ‘전(傳)’이라는 명칭을 붙인다. 해당 작가의 작품으로 여겨져 전한다는 뜻이다. 검은 비단에 금가루로 그린 ‘이금(泥金)산수화’의 작가명 자리에 ‘전(傳) 이징’이라고 적혀 있다. 이징(1581~1653)은 왕의 어진을 그렸을 정도로 실력 뛰어난 화가였다. 전시된 작품에는 이징의 화풍이 보이기는 하나, 화가의 이름이나 화제가 없고 훗날 소장했던 사람이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이후의 흐릿한 낙관이 있을 뿐이다. 이징의 작품이라고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전 이징’ 작품으로 통한다.

도자기도 위작이 많지만 때로는 모방에서 새로운 창조가 탄생하기도 했다.


모방에서 탄생한 도자의 역사


고려의 도자는 모방에서 새로운 창조를 낳았다. 고려는 10세기 무렵 중국의 햇무리굽다완 기술을 수용했고, 11세기 송나라의 우수한 도자기를 모방했다. 그러다 12세기 비색(翡色)이라는 독자적 유약을 개발했고 13세기 상감청자로 절정에 오른다. 14세기에는 왜구의 잦은 침략으로 도자 생산지가 내륙으로 옮겨가면서 재료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위기를 맞았는데 이를 계기로 분청자가 탄생했다. 분청은 오히려 성리학적 취향에 부합했고 붓자국이 남는 귀얄기법, 꽃무늬 도장을 무수히 찍는 인화문 등 다양하게 발전했다. 16세기 이후 백자에 밀려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던 분청자는 19세기 후반 이후, 일본인들에 의해 가치가 재발견된다. 작가와 작품도 중요하지만 보는 눈이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 전시는 내년 3월말까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