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지자체 출범 이후 지역별로 추진 중인 트램 사업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수도권 지자체는 트램의 대체 교통수단 효과가 큰 만큼 당초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계획인 반면 비도수권은 예산 문제와 실용성 부족 등을 이유로 사업을 전면 전환하거나 연구용역을 중단하고 있다.
12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대구는 도시철도 서대구순환선을 당초 계획했던 트램에서 모노레일로 변경하는 계획에 착수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전임 시장 시절 추진한 트램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힘에 따라 트램을 폐기하고 차량 형식 변경에 나선 것이다.
대구시는 사업비가 더 소요되더라도 서대구순환선을 대구도시철도 3호선과 같은 모노레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 내부 검토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내년 사업 경제성 분석을 위한 사전 타당성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다. 1㎞당 건설 비용이 트램은 250억 원 수준인 반면 모노레일은 600억 원 정도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 시장은 지난달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트램은 대구 시내의 교통 환경을 고려했을 때 적절치 않은 교통수단으로 잘못 설치하면 시내 전체 교통이 마비된다”며 “모노레일로 대체하는 것이 교통 혼잡을 줄이고 미래 교통수단으로 훨씬 낫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트램 사업비가 당초 예상보다 높게 예상되면서 사업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당초 대전시는 2023년 상반기 착공해 2027년 말 완공을 목표로 대전도시철도 2호선을 트램 방식으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최근 기본설계 연구용역을 마친 결과 2020년 당시 국토교통부가 승인한 7492억 원보다 7345억 원 늘어난 1조 4837억 원의 사업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비가 15% 이상 늘어나면 기획재정부로부터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다시 받아야 한다. 이 과정에 통상 9개월이 소요되기에 착공 시기도 최소 1년 뒤로 미뤄질 전망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트램건설본부가 현재 도출된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복수의 대안을 도출해 올 연말까지 정책 결정을 끝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2017년부터 트램을 추진해 온 울산시는 김두겸 시장이 2호선 노선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혀 사업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예비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으로 조만간 정부의 중간 심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하지만 북구에서 중구로 향하는 노선 일부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인수위에서 제기되면서 자칫 사업비 증가로 트램 완공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충북 청주시는 민선 7기 때 추진했던 트램 도입 연구용역의 중단을 검토 중이다. 청주시는 한범덕 전 시장 임기 중인 2020년 11월 철도기술연구원에 트램 연구용역을 맡겼다. 하지만 후보 시절부터 트램 도입에 회의적이었던 이범석 시장이 당선된 뒤 청주시는 트램이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잠정적으로 내렸다.
반면 수도권 지자체들은 트램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기도에는 수원·성남·화성시가 트램 도입을 장기 과제로 정하고 사업 추진에 나서고 있다. 수원시는 원도심의 부족한 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트램 건설을 시정 주요 과제로 내걸었다. 화성시도 동탄도시철도 기본설계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차량기지 용지를 매입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인천시는 첫 트램 노선이 될 부평연안부두선의 연구용역에 착수해 올 11월 마무리할 계획이다. 송도국제도시에 들어설 송도트램도 올 4월 사업화를 위한 연구용역에 들어가 내년 4월 완료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인천 구도심과 경제자유구역을 연계하는 트램을 통해 미래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교통망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