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산업은행의 올해 퇴직자가 1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년퇴직자 등을 제외한 자발적 퇴직자도 9월까지 70명을 넘겨 지난해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산업은행이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최근 5년간 연도별 퇴직 인원 및 신입 채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산업은행의 퇴직자 수는 100명이었다. 2018년 63명이었던 산업은행 퇴직자는 2019년 85명으로 늘었다가 지난해와 2020년 각각 77명으로 소폭 줄었다. 퇴직자는 급증했지만 신입 채용은 9월 말 현재 20명으로 지난해(156명)의 12%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정년퇴직 등을 제외한 자발적 퇴직(의원 퇴직)자 수가 71명으로 지난해(43명)보다 65% 이상 늘었다. 의원 퇴직자는 2020년 41명, 2021년 43명으로 해마다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했지만 올해는 이미 지난해 수준을 훌쩍 넘길 정도다. 업계에서는 퇴직자들의 상당수가 젊은 직원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산업은행의 올해 자발적 퇴직자 71명 중 3분의 1 정도인 25명만 임금피크제 적용을 받는 직원이고 46명은 임금피크제와는 상관없는 직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추진으로 인력 유출이 가속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윤 의원은 “금융산업 발전에 대한 로드맵이나 부산 이전의 당위성에 대해 제대로 설명도 하지 못하면서 국회를 설득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섣부르게 이전 준비단을 만들게 아니라 다양한 이견을 듣고 내부 설득부터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20일 국정감사에서 “(부산 이전은) 산업은행의 새로운 역할, 즉 부산·울산·경남(부울경)과 동남권 지역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드는 취지”라며 “(직원들도)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부작용을 우려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이전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하지만 올 6월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산업은행 본점을 서울시에 두도록 하는 산업은행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산업은행 본점을 ‘대한민국’ 어디에나 둘 수 있도록 하는 내용에 따라 일부 지자체에서는 산업은행 유치에 나서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