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 중 남자아이 비중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990년대 한때 아들이 딸의 두 배가 넘었던 셋째 이후 아이의 성비도 비슷해졌다. ‘남아 선호 사상’이 옛말이 되고 있다.
1일 통계청의 2022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성비’는 104.7명으로 전년보다 0.4명 감소했다. 지난해 여자아이 100명당 남자아이가 104.7명 태어났다는 얘기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계 집계 시점(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성비의 감소는 꾸준히 이어졌다. 1990년 당시 116.5명에 달했던 출생성비는 점차 낮아져 1997년(108.2명) 처음 110명 아래로 떨어진 뒤 몇 년간 잠시 선을 오르내리더니 2000년대 들어와서는 안정적으로 100명대를 유지했고, 2007년(106.2명) 드디어 정상 범위(103~107명) 안으로 진입했다. 사실상 성비 불균형이 해소된 것이다.
지난해에는 총 출생성비뿐 아니라 첫째아·둘째아·셋째아 이상으로 나눠 본 출생 순위별 출생성비도 모두 정상 범위 안이었다. 첫째아 출생성비는 104.8명으로 전년보다는 0.5명 줄었고, 둘째아 출생성비는 104.6명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특히 셋째아 이상의 출생성비가 전년보다 1.1명 감소해 통계 집계 이래 최저치인 105.4명을 기록했다. 남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그간 셋째아 이상의 출생성비는 첫째아보다 훨씬 높았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셋째 이후 아들이 딸의 두 배가량이었다. 남자가 대를 잇는다는 유교적 사회 관념이 희미해지며 남아의 효용 가치가 떨어졌고 제도적으로도 호주·호적 폐지로 양성의 권리가 대등해졌다는 분석이다. 차별이 옳지 않다는 학교 교육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