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코리아 규모가 갈 수록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국내 기업 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참여한 게 눈에 띕니다.” (바이오기업의 한 관계자)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2023’. 행사장의 ‘파트너링 센터’에서는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의 비즈니스 미팅이 끊임 없이 이뤄지고 있었다. 다국적 제약사 MSD, 사노피, 베링거 인겔하임은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현장을 찾은 사업 개발 담당자들과 미팅을 이어갔다. 국내 기업 관계자들 뿐만 아니라 미국·독일·캐나다·호주·중국 등 다수의 기업 관계자들이 현장을 찾은 모습은 세계제약산업전시회(CPHI),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바이오USA 같은 유수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행사를 방불케 했다. 한국 최대 바이오 행사인 바이오코리아2023은 올해로 18년째다. 올해는 사전 미팅만 1300건이 넘게 등록됐다. 이 밖에도 현장에서 셀 수 없는 비즈니스 미팅이 즉석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백신·재생의료·유전자치료제·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분야의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부스를 꾸렸다. 그중에서도 특히 위탁개발생산(CDMO) 수주를 위한 경쟁은 전쟁처럼 치열했다. CDMO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고객사 확보를 위한 경쟁이 너무 치열해진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CDMO 분야의 대표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위탁개발(CDO) 영업팀이 현장에 참석했다. CDO 서비스는 세포주·공정 및 제형개발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바이오시밀러 사업이 성장하면서 CDO 분야도 연 평균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우시바이오로직스(우시)가 올해 처음으로 바이오코리아에 개별 부스를 차린 것도 현장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우시는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CRDMO 플랫폼'을 선보였다. CRDMO는 기존 CDMO에 ‘연구(R·Research)’를 추가한 개념이다. 바이오 의약품 생산을 넘어 후보 물질에 대한 연구와 임상 단계까지 지원한다. CRDMO를 핵심 전략으로 내세운 우시는 지난해 100건 이상의 수주를 따내며 3조 원에 육박한 매출을 기록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도 이날 우시의 부스를 찾아 독감 백신의 동물 실험 가능 여부를 문의했다.
미국 생명과학기업인 서모피셔는 CDMO 사업 시작을 위해 인수한 패티온이 현장에 개별 부스를 꾸렸다. 2019년 이래로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분야에 4조 원 이상을 투자한 서모피셔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상업생산 의약품 제조용 플라스미드 DNA, 바이러스 벡터 제조부터 포장·보관·글로벌 유통까지 ‘엔드투엔드’ 서비스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글로벌 트렌드가 생산을 넘어 임상부터 유통까지 고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중심으로 CDMO 사업을 시작한 한미약품(128940)도 고객사 확보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한미약품은 일라이 릴리, MSD와 CDMO 유치를 위한 미팅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미약품은 2018년 기존 제1공장에 이어 1700억 원을 투자해 제2공장을 설립했다. 2공장은 2만L의 미생물 배양·정제 시설을 통한 대량 제조시설을 보유 중이다. 김세권 한미약품 이사는 “미생물 배양시설은 아시아 최대 규모”라며 “원료부터 완제품까지 ‘원스톱’ 전략으로 CDMO 수주를 유치할 것”이라고 했다.
차세대 의약품 모달리티로 평가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기업들도 다수 현장에 참석했다. 스위스의 페링 파마슈티컬스 뿐만 아니라 호주에 본사를 둔 아큐라바이오, 이탈리아의 싸코 시스템, 유럽 최대 미생물 CDMO 기업으로 알려진 바커 바이오텍도 국내 기업들과 사업 개발 논의를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대표 주자인 지놈앤컴퍼니(314130)는 이들 기업과 CDMO 분야에서 협력할 기회를 모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개막식 행사에는 김영환 충북도지사,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 2차관,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의 미래가 바이오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바이오 분야가 넥스트 반도체가 될 수 있도록 전주기 투자 및 금융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며 “혁신 기술을 촉진하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