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우유 등 먹거리에 이어 ‘서민의 발’ 역할을 하는 지하철·버스 등 운송 서비스 물가도 치솟고 있다. 이에 정부는 체감도가 높은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매일 물가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다만 이 같은 방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우유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4.3%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9년 8월(20.8%) 이후 14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 밖에 설탕과 아이스크림 가격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4%, 15.2% 상승했다. 2년 전인 2021년 10월과 비교하면 설탕은 34.5%, 아이스크림은 23.8%나 올랐다.
빵과 커피 가격은 2년 전보다 각각 21.6%, 23.0% 치솟았다. 식용유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오르는 데 그쳤지만 2년 전과 비교하면 47.9% 뛰었다.
먹거리뿐 아니라 교통 물가도 들썩이고 있다. 지난달 지하철·버스·택시 등 운송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9.1% 올라 2007년 4월(9.3%) 이후 16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택시 심야 할증 요금을 시작으로 올해 기본료 인상과 함께 8월 서울 시내버스, 10월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등이 잇따라 겹친 결과다.
이에 정부는 물가 잡기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우선 농축산물 14개, 가공식품 9개, 외식 메뉴 5개 등 물가 체감도가 높은 28개 품목의 가격을 매일 점검하기로 했다. 상시 점검 대상에 오른 빵·우유·라면 등 가공식품 8개의 경우 각 품목마다 사무관급의 ‘물가 관리 전담자’도 배치됐다. 정부는 전담자를 통해 각 품목 생산 업체를 방문하거나 업계와 간담회를 열어 물가 안정 정책에 대한 협조를 당부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물가 관리 방식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가격 인상을 억제하는 방식의 물가 관리는 가격은 그대로 둔 채 용량을 줄이거나 질을 낮추는 ‘꼼수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방식이 이명박 정부가 2012년 물가를 잡기 위해 ‘빵 사무관’ 등 전담 공무원을 둔 ‘물가관리책임실명제’와 닮은꼴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와 관련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한 방송 인터뷰에서 “물가는 정부 혼자 안정시킬 수 있는 게 아니고 각계가 함께 협조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은 당분간 동결 기조”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