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찰 공무원이 한 해 평균 21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무 위험성과 스트레스를 고려해 경찰을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 교육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16일 동국대 경찰사법대학 최응렬 교수와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박양재씨는 최근 학술지 한국경찰연구에 게재한 논문 '경찰공무원의 자살 현황 및 예방에 관한 연구'에서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찰 공무원은 2018년 16명, 2019년 20명, 2020년 24명, 2021년 24명, 2022년 21명으로 한 해 평균 21명이다. 작년에는 10월까지 19명이 극단 선택을 했다.
직무별로 보면 2018년 1월부터 작년 10월까지 약 6년간 자살한 경찰 공무원 124명 중 지역 경찰이 62명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이어 수사 12명(10%), 경무 8명(6%), 생활안전 7명(6%)·형사 7명(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자살 사망자 수 111명 중 50대가 45명(41%)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38명(34%), 30대 23명(21%), 20대 5명(5%) 순이었다. 계급별로는 경위 66명(59%), 경사 17명(15%), 경감 13명(12%), 경장 8명(7%) 순으로 많았다.
논문은 경찰 공무원의 높은 직무 위험성과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 문제 등이 자살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논문은 또 업무 특성상 항상 긴장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겪는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와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적은 탓에 발생하는 가족과의 갈등 등도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그러면서 각 시도 경찰청 '생명지킴이 강의' 등 자살 예방 교육 활성화와 전·현직 경찰공무원 전문 상담사 양성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저자들은 "경찰관은 경찰 마음 동행센터와 민간 심리상담소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전문(민간) 상담사는 경찰 업무에 대한 특수성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며 "경찰 생활을 잘 알고 이해할 수 있는 전직, 현직 경찰 공무원 전문 상담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