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사설] 글로벌 1위 뺏긴 K반도체, 일본의 몰락 교훈 잊지 말아야


삼성전자가 글로벌 반도체 1위 자리를 인텔에 뺏기자 K반도체가 위기를 맞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반도체 매출은 지난해 399억 500만 달러에 머물러 인텔(486억 6400만 달러)에 이어 2위로 내려앉았다. 2021년 탈환했던 반도체 산업 왕좌를 2년 만에 다시 넘겨준 셈이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매출이 전년 대비 37.5%나 급감한 반면 인텔의 매출은 16.7% 감소에 그쳤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도 2022년 4위에서 지난해 6위로 두 계단 떨어졌다.

K반도체의 위상이 흔들리는 것은 메모리 반도체에 치중하면서 불황의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전년보다 37%나 줄었지만 비메모리 시장은 3% 감소하는 데 그쳐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반도체 강자의 명성에 취해 방심한다면 도태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수 있다. 1980년대 세계 반도체 업계를 주도했던 일본이 급변하는 시장 흐름을 읽지 못해 몰락했던 전철을 밟을 수 있다. 당시 일본 정부는 한국과 대만의 공세를 피하기 위해 무리하게 기업 인수합병(M&A)을 밀어붙여 외려 경쟁력 약화를 초래했다.

반도체 패권 전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초격차 기술 개발과 고급 두뇌 육성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 지난해 AI 시장 확대에 힘입어 세계 랭킹 5위에 오른 엔비디아처럼 남들이 넘볼 수 없는 압도적인 기술력을 갖춰야 한다. 대학 등에 대한 파격적인 인센티브 지원과 정원 확대를 통해 뛰어난 인재를 키우는 노력도 빼놓을 수 없다. 시장 규모가 메모리 반도체의 세 배에 달하고 부가가치도 높은 시스템 반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도 시급한 과제다.



정부는 경기도 남부 지역에 622조 원을 투입해 세계 최대·최고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나섰다.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탄탄한 공급망을 뒷받침하고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등을 육성해 최첨단 시스템 반도체 허브로 키워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정부는 전력·용수 등 핵심 인프라를 적기에 공급하고 과감한 규제 혁파와 세제·금융 지원으로 생태계 구축에 속도전을 펼쳐야 한다. 국가 대항전에서 뒤처져 반도체 경쟁력을 상실한 일본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