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MS·소니 부활에서 배우는 삼성 재도약 '세 가지 길' [biz-플러스]

①과감한 리더십과 조직문화 개편

②시대흐름 발맞춘 사업구조 전환

③선제적 M&A 통한 신사업 강화

"위기 딛고 일어난 MS·소니처럼

甲 아닌 乙의 위치서 다시 뛰어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6일 중동 출국을 위해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전 세계 전자 업계를 호령했던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소니에 10년 전에는 ‘늙은 공룡’ ‘종이 호랑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MS는 빌 게이츠가 떠난 후 PC에서 모바일로 변하는 시대 흐름을 쫓아가지 못해 한물간 기업으로 통했다. 2011년 시가총액은 세계 3위에서 10위까지 곤두박질쳤다. 소니도 마찬가지였다. 소니는 2010년대 초 신용등급이 정크(투기) 등급 수준까지 내려갈 정도로 재무 상황이 악화됐다. 오랜 기간 이어진 경제 불황과 하드웨어 제조에만 집착하다 경쟁에서 더 이상 힘을 쓰지 못하면서 빚어진 현상이었다.

이 두 기업은 최근 승승장구하며 불명예의 꼬리표를 뗐다. MS는 세계 최대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10년 전 113조 원 수준이던 매출은 지난해 275조 원까지 뛰었다. 이 기간 동안 시가총액도 3조 달러까지 10배가량 뛰어오르며 애플과 시총 1위를 다투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한때 10조 원이 넘는 적자를 보던 소니는 현재 매출 100조 원, 순이익 5조 7000억 원을 내는 알짜 기업이 됐다.

과거 두 기업에 드리웠던 위기의 그림자는 현재 삼성전자(005930)가 지나고 있는 부진의 터널과도 겹치는 부분이 많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90% 급감하며 주력 사업인 반도체와 스마트폰 시장에서 모두 세계 1위 자리를 빼앗겼다. 삼성 내부에서조차 더 이상 ‘초격차’가 보이지 않는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기존 주력 사업들이 갈 길을 잃고 헤매는 가운데 강력한 리더십의 부재로 미래 비전마저 불투명해졌다는 뼈아픈 진단이다. 소니가 지난해 영업이익 면에서 24년 만에 삼성전자를 추월한 것 역시 이러한 위기감을 압축한 현상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6일 오후 출국을 위해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전자 업계에서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겪은 후 다시 날개를 펴기 시작한 MS와 소니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9년간 발목이 묶였던 사법리스크 족쇄를 풀면서 위기를 타개할 기틀을 다지기에도 적합한 상황이다.

이 두 기업의 부활 배경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우선 강력한 리더십이다. 10년 전 MS 수장으로 오른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는 ‘새로 고침’ 전략을 내세우며 경직적인 조직 문화에 곧바로 메스를 댔다. 부서 간의 칸막이 문화, 연구와 제조 부문의 반목을 없애는 데도 오랜 시간을 들였다. 소니의 히라이 가즈오 전 CEO는 취임 직후 직접 대규모 구조 개혁을 단행했다. 반발을 무릅쓰고 PC 사업을 매각하고 TV 사업을 재편했다. 소니의 뿌리가 전자라고 생각하는 조직 문화를 과감히 거스른 것이다.



사업 구조를 뒤바꾸는 대전환도 감행했다. MS는 PC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 클라우드에서 성장 동력을 찾았다. 이 과정에서 폐쇄적이었던 경영 기조도 벗어던지며 외부 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에 심혈을 기울였다. 애플의 iOS,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모두 협력해 기업용 소프트웨어 오피스를 개발했고 페이스북 플랫폼에서 MS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작동되도록 협업했다.

소니는 게임과 음악·영화 등 문화 사업 위주로 조종키를 과감히 돌렸다. 소니의 대표 제품이 ‘워크맨’에서 플레이스테이션, 소니 뮤직, 인기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등으로 바뀐 것이다. 현재 소니 매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게임&네트워크 서비스(27%)다. 20년 전 전자제품 부문이 매출의 60%를 차지했던 것과는 대조된다. 대전환을 위한 대규모 인수합병(M&A)과 투자가 적기에 이뤄진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MS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오픈AI에 선제적인 투자를 감행해 기술 주도권을 쥐는 데 성공했다.

삼성전자도 이 같은 성공 방정식 수립이 절실한 상황이다. 스마트폰·반도체·가전의 삼각편대를 넘어서는 완전히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사업을 발굴하지 못하면 존속 가능성마저 위협 받을 수 있다. 삼성의 신사업 시계는 2010년 발표한 바이오, 전기차 배터리, 의료기기 등 5대 신수종 사업 이후로 멈춰 있다. 2017년 독일 전장·오디오 기업인 하만 인수 이후 대규모 M&A도 끊긴 상태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삼성전자가 글로벌 일류 기업이 될 수 있었던 것도 1980년대 반도체라는 신사업에 진출한 것이 바탕이 됐다”며 “과거 이건희 선대회장이 총대를 메고 대규모 투자를 해 반도체 산업을 일궈낸 것처럼 이 회장도 ‘포스트 반도체’ 비전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이 단행할 대격변의 방향이 철저히 고객 중심이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재계 안팎에서는 삼성이 산업 지형 변화 속에서도 1등에 안주해 경쟁자들에게 추격의 틈을 내줬다는 평가가 분분했다.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핵심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 반도체 전문가인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는 최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삼성전자는 HBM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 이는 삼성전자가 계속 D램에서 지배력을 발휘하고 있었고 세계 1등이라는 포지션이 주는 안정감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며 “삼성전자가 지금 당장 착수해야 하는 것은 적어도 AI 반도체에 대해서는 갑의 위치를 다 잊어버리고 철저하게 을의 위치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