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정부 밸류업 세부안 나온다…증시도 긴장[이번주 증시전망]

지난주 코스피 0.71%, 코스닥 1.28%↑

SK하이닉스에 외국인 최대 순매수

NH증권, 이번주 코스피 2600~2720 예상

2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주 국내 주식시장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에 엔비디아발 훈풍이 더해지면서 5주째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이번주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결을 공언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안이 공개될 예정이어서 증권가 관심이 쏠린다. 시장의 기대에 부합하는 내용이 담긴다면 한 달 이상 이어져 온 저 PBR 랠리가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 일각에선 자칫 높아진 눈높이에 못 미칠 경우 실망 매물을 불러올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2일 코스피 지수는 지난 16일(2648.76) 대비 18.94포인트(0.71%) 오른 2667.70으로 거래를 마쳤다. 19일 2680선을 돌파한 데 이어 23일 장중 한때 2694.80까지 오르면서 1년 10개월 만에 2690선을 돌파했으나 기관 매도 등으로 상승 폭이 제한됐다. 같은 기간 코스닥은 857.60에서 868.57로 10.97(1.28%)포인트 올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5거래일 동안 9751억 원을 순매수하면서 지수를 끌어올렸다. 기관도 2503억 원을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1조 3142억 원을 팔면서 차익을 실현했다. 코스닥은 유가증권시장과 다른 양상이다. 개인투자자가 6595억 원을 순매수하면서 외국인(-4428억 원) 물량을 받아냈다. 기관은 233억 원은 순매수에 그쳤다.

정부가 오는 26일 발표하기로 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안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업황 호조 기대감 등으로 외국인 순매수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는 평가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서만 7조 원 넘는 순매수세를 기록 중이다. 외국인은 지난 한 주 동안 SK하이닉스(5165억 원)을 가장 많이 순매수했다. 이어 삼성전자우(005935), 삼성물산(028260), KODEX200, 알테오젠(196170), HD현대일렉트릭(267260), SK스퀘어(402340), 기아(000270), 삼성생명(032830), HMM(011200) 등이 뒤를 이었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동반 상승했으나 엔비디아 실적 호조로 미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 등 일부 국가의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다소 아쉬운 수준이다. 22일(현지시간) 미국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사상 처음 3만 9000선을 돌파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11% 오른 5087.03으로 역대 최고치 기록을 세웠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 역시 사상 처음 3만 9000선을 넘겼다. 거품경제 시절인 1989년 12월 이후 34년 만이다.

투자 전문가들은 다음 주 국내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엔비디아가 촉발한 반도체 업황 호조 기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한국 수출 호조 기대감 등을 꼽았다. 특히 26일 발표 예정인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새로운 주가지수 개발, 기업 배당 세액공제 제도 등 다양한 정책이 언급되고 있으나 시장 기대를 충족하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NH투자증권(005940)은 이번 주 코스피가 2600~2720포인트 안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다. AI 성장 기대감과 함께 한국 수출 개선세를 상승 요인으로 꼽았다. 반면 하락 요인으로는 자동차·은행의 배당락을 거론했다. 오는 28일과 29일 자동차·은행 기업들의 배당기준일이 예정된 만큼 단기 차익실현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배당기준일은 28일 하나금융지주(086790)를 시작으로 29일 현대차(005380)·KB금융(105560)·우리금융지주(316140)·BNK금융지주(138930)·DGB금융지주(139130)·JB금융지주(175330)·POSCO홀딩스(005490)·카카오(035720)·CJ제일제당(097950) 등이 예정돼 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와 은행주 배당락 등으로 가치주 테마가 단기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반면 AI 분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 주식시장의 관심이 성장주 테마로 쏠릴 가능성이 큰 만큼 종목 간 차별화를 예상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련태그
#엔비디아, #밸류업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