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4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8% 늘어난 562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7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갔다. 반도체 수출이 56.1% 급증하며 99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주춤했던 자동차 수출도 10.3% 증가해 역대 최대인 67억 9000만 달러에 달했다. 석유제품(19%), 석유화학(12.3%), 가전(9.4%) 등 대다수 주력 품목들이 호조를 보였지만 4월 수출 증가를 ‘쌍끌이’로 견인한 것은 반도체와 자동차였다. 지역별로는 양대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이 각각 24.3%와 9.9% 늘어 회복세를 이끌었다.
자원이 부족하고 내수 시장이 제한적인 우리 경제의 최대 성장 엔진은 역시 수출이다. 경제성장 여부가 사실상 수출 경쟁력에 달려 있다. 정부가 올해 경기 회복을 자신하는 것도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른 수출 경기 회복 기대감 때문이다. 하지만 눈앞의 수출 지표 개선만 믿고 지속적인 수출 증대를 자신할 수는 없다. 반도체·자동차가 전체 수출의 약 30%를 차지하고 미중 의존도가 40%에 육박하는 편중된 수출구조의 취약성 때문이다. 반도체 불황 여파로 수출 경기가 얼어붙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반토막 났던 지난해처럼 업황 사이클이나 지정학 불안, 글로벌 경기와 같은 외부 변수들이 언제 우리 수출의 발목을 잡을지 모른다.
불확실성이 커지는 글로벌 무역 여건에서 수출 성장세를 이어가려면 수출 품목과 시장을 다변화해 시장 대응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반도체·자동차 등 핵심 주력 산업에 대한 집중 지원으로 경쟁력을 더 높이는 것은 기본이다. 이뿐 아니라 방산·원전·바이오·플랜트 등 차세대 주력 수출 품목의 발굴 및 육성에 힘을 실어야 한다.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대비해 수출 시장 확대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그러려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뛰는 동시에 정부가 정교한 외교력으로 시장 개척을 뒷받침해야 한다. 정부의 ‘세일즈 외교’가 사우디아라비아로 4조 원대 방산 수출을 성사시킨 것이 좋은 사례다. 우리 수출 기업들이 ‘모래주머니’를 차고 뛰는 일이 없도록 규제 혁파, 노동 개혁에 속도를 내고 세제·금융 등 전방위 지원에도 나서야 한다. 모처럼 회복 궤도로 올라선 수출이 꺾이지 않도록 하려면 민관정이 ‘원팀’으로 뛰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