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문해력(文解力·글을 이해하고 쓸 수 있는 능력) 저하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자 정부가 각 학교에 독서 교육 등을 담당할 전문 사서 교사의 업무 체계화와 정원 확대 필요성 등을 검토하고 나섰다.
11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최근 ‘사서교사 직무 체계화 및 배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교육부는 해당 연구를 통해 각 학교 도서관의 사서교사 현황을 파악하고 배치 기준 개선과 정원 확대 필요성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학교도서관진흥법령에 따라 학교도서관 한 곳당 1명 이상의 전문 인력(사서교사·사서)을 둬야 한다. 그러나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초중고 학교도서관 1만 1792곳 가운데 전문 인력이 배치된 곳은 4568곳(약 38.74%)에 불과하다. 비정규직인 교육공무직을 제외하고 수업 지도를 할 수 있는 사서교사의 배치 비율은 2978곳(25.25%)에 그쳤다. 사서 교사 임용 수는 2023학년도 0명, 2024학년도 60명, 2025학년도 50명에 머물고 있다. 전국 초중고의 98%가 학내에 도서관을 설치해 매년 총 1796억 원가량의 예산을 투입하는데도 학생들에게 책을 빌려주는 것 외에는 별다른 기능 없이 사실상 방치된 채 운영되고 있는 셈이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사서교사에 요구되는 직무 역량을 재정립한다. 인공지능(AI), 챗GPT 등이 일상화된 시대적 흐름에 맞춰 사서 교사의 수업도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사서 교사가 도서관 행정 업무뿐 아니라 독서활동·수업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한다. 현재 학생 독서 교육은 초등학교 창체활동(자율·동아리·진로·봉사활동), 중학교 자유학기제, 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수업의 일환으로 이뤄지고 있다. 다만 사서 교사의 법적 수업 시수가 정해져 있지 않아 뒷전으로 밀리는 경우가 많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