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경기 광명시장이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사고로 어려움을 겪는 인근 주민과 소상공인이 제때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입장을 밝혔다.
2일 광명시에 따르면 전날 박 시장은 구석말 주민·소상공인을 만난 자리에서 “시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것이 지자체의 역할”이라며 “시가 사고 책임을 묻고 신속하게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촉구 공문 발송, 기자회견 개최 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약속했다.
사고 당시 추가 붕괴 우려에 따라 지난 달 13일 사고 현장 반경 50m 내 대피 명령을 내리면서 구석말 주민 12세대 38명, 사업장 4개소가 대피했고, 사고 여파로 가스가 끊기며 50m 외 주민과 소상공인들도 주거지와 사업장을 두고 떠날 수밖에 없었다. 현재까지 구석말 총 21세대 55명이 거주지를 나왔고, 사업장 17개소가 영업 피해를 입고 있는 상태다. 특히 일부 사업장은 영업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다.
현장에서 주민들은 “신안산선 공사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에 지속적으로 보상을 요청하고 있지만 협상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조속한 1차 보상을 시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요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박 시장은 “안전은 그 어떤 명분으로도 타협할 수 없다”며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속한 사고 현장 복구와 피해 보상을 적극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사고 현장 인근 아파트 단지와 간담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추가 반영한 후, 주민 합동 기자회견을 개최해 피해 보상 등 사고 책임을 촉구할 계획이다.
사고가 발생한 양달로 구간 지반 정밀안전진단 요청에 대해서도 “현재 사고현장 인근 건축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은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며 “지하 200m까지 탐사가 가능한 지반탐사장비를 활용해 건축물뿐 아니라 도로 등 기반시설에 전반에 대해 지반 안전성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사고 현장 인근 소상공인에게 도로점용료를 감면할 수 있도록 검토하고, 사고 복구 진행 과정에 대해서 주민들과 적극 공유할 수 있도록 소통 채널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한국지하안전협회, 한국안전리더스포럼 등 안전 전문 기관에서 추천받은 민간전문가 11명과 시 내부 기술직 국장 1명 등 총 12명으로 ‘광명시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이달 내 구성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의 안전진단 결과를 관계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객관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